use reqwest;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use std::collections::HashMap; use tokio;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
가. use reqwest;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import) 기능으로, Yahoo Finance API에서 주식 데이터를 가져오는 HTTP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시: reqwest::get(“https://api.example.com”)
Cargo.toml에서는 dependency를 선언한 것이고, 사용하려면 다시 use를 해야 합니다.
나.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직렬화/역직렬화 라이브러리인 serde를 import 하는 구문으로, ::{Deserialize, Serialize}는 라이브러리의 전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Deserialize와 Serialize 트레이트(trait)만 가져오는 것입니다.
JSON 데이터를 Rust 구조체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 역확을 하며, 본 코드에서는 Yahoo API의 JSON 응답을 StockData 구조체로 변환하는데 사용합니다.
dependencies의 serde와 main.rs의 serde의 차이점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Cargo.toml의 dependencies] serde = { version = "1.0", features = ["derive"] }는 serde 크레이트의 추가 기능인 derive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derive(Serialize, Deserialize)] 매크로를 사용 가능하게 합니다.
[main.rs의 use]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는 실제로 구조체에 적용할 트레이트인 Deserialize, Serialize 트레이트를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main.rs의 struct 구문] // derive 기능이 활성화되어서 이 매크로 사용 가능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StockData { symbol: String, price: f64, }
[3단계 구조] features = ["derive"]로 derive 기능을 활성화하고, use serde::{...}로 Deserialize, Serialize 트레이트를 가져오고, #[derive(...)]로 구조체에 실제 매크로를 적용하는 3단계 구조입니다.
다. use std::collections::HashMap;
키-값 쌍을 저장하는 해시맵을 import 하는 것인데, 현재 코드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지우고 실행해보니 문제없습니다.
claude.ai가 필요없으니 삭제를 해야 하는데, 삭제를 하지 않았네요.
cargo run을 하니 unused가 HashMap뿐만 아니라 DateTime, e도 있습니다.
use std::collections::HashMap;은 한 줄을 지우고,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에서는 DateTime만 지우고,
error를 의미하는 e는 위 화면의 제안에 따라 _e로 바꾸고 실행하니 문제없이 깔끔하게 실행됩니다.
라. use tokio;
tokio라는 비동기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하는 구문으로 async/await를 이용해 여러 주식의 정보를 동시에 병렬로 가져오기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10개 주식을 순차적으로 가져오면 10초가 걸리는데, 병렬로 가져오면 1초뿐이 안걸립니다.
마. use chrono::{Utc, TimeZone};
chrono는 날짜/시간 처리 라이브러리로서 Unix 타임스탬프를 사람이 읽기 쉬운 날짜로 변환해줍니다. 예를 들어 1692345600를 “2023-08-18 12:00:00″로 바꿔줍니다.
Unix 타임 스탬프는 UTC 기준으로 1970.1.1부터의 누적된 초이며, UTC는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의 약어)로서 그리니치 표준시 (GMT)의 후속 표준이라고 합니다.
2. struct
이 코드는 Yahoo Finance API에서 주식 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데이터 구조(Struct)**를 정의한 것입니다.
serd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JSON 데이터 → Rust 구조체 변환(Deserialize)과 반대로 변환(Serialize)을 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postman 사이트에서 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AAPL를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깔끔한 JSON 포맷의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중괄호 안에 chart(key)가 있고, 그 안에 result와 대괄호(배열)가 있고, 다시 중괄호 다음에 meta가 있으며, 그 안에 우리가 얻고자 하는 currency, symbol, regularMarketPrice 등이 key: Value 쌍으로 담겨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계별로 struct를 만듭니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인가요? claude.ai의 도움을 받아 만든 “Yahoo Finace API를 이용해서 주식 데이터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을 살펴보겠습니다. Rust는 먼저 Cargo.toml 파일에서 가져올 크레이트(라이브러리)를 정의하고, main.rs에서 실행 코드를 구현합니다.
1. Cargo.toml
[dependencies]
reqwest = { version = "0.11", features = ["json"] }
serde = { version = "1.0", features = ["derive"] }
serde_json = "1.0"
tokio = { version = "1.0", features = ["full"] }
dependencies 섹션에 reqwest, serde, serde_json, tokio 크레이트(crate, library)를 버전과 features를 이용해 지정합니다.
가. reqwest
request가 맞는 단어인데, reqwest로 약간 다른 점 주의해야 합니다. reqwest 크레이트는 편리하고 높은 수준의 HTTP 클라이언트를 제공합니다.
version은 크레이트의 버전을 지정하는 것은 알겠는데, features는 크레이트의 특정 기능(선택적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때 사용되며, 조건부 컴파일을 가능하게 하여, 필요한 기능만 컴파일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features = [“json”]은 “json” 기능을 켜서 JSON 직렬화/역직렬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Cargo.toml을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오른쪽에 X 0.12.23이라고 표시되는데, 이것은 reqwest 최신 버전이 0.12.23이 최신인데, 0.11로 지정해서 그런 것입니다. 이 때 0.11에 커서를 대고 있으면
아래와 같이 버전 목록이 표시되는데, 맨 위에 0.12.23이 있으므로 클릭합니다.
그러면 버전이 자동으로 변경되고, X표시가 없어지고, 녹색 체크 표시로 바뀝니다.
나. serde
데이터 직렬화(Serialize) / 역직렬화(Deserialize) 라이브러리입니다. JSON, TOML, YAML 등 다양한 포맷과 Rust 구조체를 변환할 때 사용하며,
features = [“derive”]는
[derive(Serialize, Deserialize)] 어트리뷰트를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다. serde_json
serde의 JSON 전용 확장판으로서, Rust 데이터와 JSON 문자열간에 변환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let user = User { name: "Kim".into(), age: 30 }; let json_str = serde_json::to_string(&user)?; // 구조체 → JSON 문자열 let parsed: User = serde_json::from_str(&json_str)?; // JSON → 구조체
라. tokio
Rust의 비동기 런타임 (async/await 동작을 실제로 수행하는 엔진)으로서, features = [“full”]은 모든 기능(네트워킹, 파일 I/O, 타이머 등)을 한 번에 활성화하는 것이며, #[tokio::main] 매크로로 main 함수를 비동기로 만들 수 있습니다.
2. main.rs
가. 코드 1
아래 코드를 src 폴더의 main.rs를 연 후 Ctrl + A해서 전체를 선택한 후 Ctrl + V를 하면 기존 내용에 덮어씌워집니다.
use reqwest;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use std::collections::HashMap;
use tokio;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YahooResponse {
chart: Chart,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Chart {
result: Vec<ChartResult>,
error: Option<serde_json::Value>,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ChartResult {
meta: Meta,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Meta {
currency: String,
symbol: String,
#[serde(rename = "longName")]
long_name: Option<String>,
#[serde(rename = "regularMarketPrice")]
regular_market_price: Option<f64>,
#[serde(rename = "regularMarketTime")]
regular_market_time: Option<i64>,
}
#[derive(Debug, Clone)]
struct StockData {
symbol: String,
long_name: String,
regular_market_price: f64,
currency: String,
regular_market_time: i64,
}
async fn fetch_stock_data(symbol: &str) -> 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url = format!("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 symbol);
let client = reqwest::Client::new();
let response = client
.get(&url)
.header("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send()
.await?;
let text = response.text().await?;
let yahoo_response: YahooResponse = serde_json::from_str(&text)?;
if let Some(result) = yahoo_response.chart.result.first() {
let meta = &result.meta;
Ok(StockData {
symbol: symbol.to_string(),
long_name: meta.long_name.clone().unwrap_or_else(|| "N/A".to_string()),
regular_market_price: meta.regular_market_price.unwrap_or(0.0),
currency: meta.currency.clone(),
regular_market_time: meta.regular_market_time.unwrap_or(0),
})
} else {
Err(format!("No data found for symbol: {}", symbol).into())
}
}
async fn fetch_multiple_stocks(symbols: &[&str]) -> Vec<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mut handles = Vec::new();
for &symbol in symbols {
let symbol_owned = symbol.to_string();
let handle = tokio::spawn(async move {
fetch_stock_data(&symbol_owned).await
});
handles.push(handle);
}
let mut results = Vec::new();
for handle in handles {
match handle.await {
Ok(result) => results.push(result),
Err(e) => results.push(Err(e.into())),
}
}
results
}
fn format_timestamp(timestamp: i64) -> String {
use std::time::{UNIX_EPOCH, Duration};
let datetime = UNIX_EPOCH + Duration::from_secs(timestamp as u64);
// 간단한 포맷팅 (실제로는 chrono 크레이트 사용 권장)
format!("Unix timestamp: {}", timestamp)
}
#[tokio::main]
async fn main() -> Result<(),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symbols = [
"005930.KS", // 삼성전자
"AAPL", // Apple
"TSLA", // Tesla
"LIT",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BRK-B", // Berkshire Hathaway Class B
"AMZN", // Amazon
"O", // Realty Income Corporation
"TQQQ", // ProShares UltraPro QQQ
"XOM", // Exxon Mobil
"WMT", // Walmart
];
println!("Fetching stock data...\n");
let results = fetch_multiple_stocks(&symbols).await;
for (i, result) in results.iter().enumerate() {
match result {
Ok(stock) => {
println!("Symbol: {}", stock.symbol);
println!("Long Name: {}", stock.long_name);
println!("Regular Market Price: {:.2} {}", stock.regular_market_price, stock.currency);
println!("Currency: {}", stock.currency);
println!("Regular Market Time: {}", format_timestamp(stock.regular_market_time));
println!("---");
}
Err(e) => {
println!("Error fetching data for {}: {}", symbols[i], e);
println!("---");
}
}
}
Ok(())
}
cargo run을 하면 compile과 build를 한 후
Run을 하는데, 주식 정보 조회 결과를 주식별로 하나씩 보여주고, 시간이 Unix timestampt로 보여줘서 날짜와 시간을 알 수 없습니다.
나 코드 2
그래서 엑셀 처럼 표 형태로 보여주고, Unix time을 년월일시로 바꿔달라고 했더니 아래 코드가 되는데,
use reqwest;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use std::collections::HashMap;
use tokio;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YahooResponse {
chart: Chart,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Chart {
result: Vec<ChartResult>,
error: Option<serde_json::Value>,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ChartResult {
meta: Meta,
}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Meta {
currency: String,
symbol: String,
#[serde(rename = "longName")]
long_name: Option<String>,
#[serde(rename = "regularMarketPrice")]
regular_market_price: Option<f64>,
#[serde(rename = "regularMarketTime")]
regular_market_time: Option<i64>,
}
#[derive(Debug, Clone)]
struct StockData {
symbol: String,
long_name: String,
regular_market_price: f64,
currency: String,
regular_market_time: i64,
}
async fn fetch_stock_data(symbol: &str) -> 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url = format!("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 symbol);
let client = reqwest::Client::new();
let response = client
.get(&url)
.header("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send()
.await?;
let text = response.text().await?;
let yahoo_response: YahooResponse = serde_json::from_str(&text)?;
if let Some(result) = yahoo_response.chart.result.first() {
let meta = &result.meta;
Ok(StockData {
symbol: symbol.to_string(),
long_name: meta.long_name.clone().unwrap_or_else(|| "N/A".to_string()),
regular_market_price: meta.regular_market_price.unwrap_or(0.0),
currency: meta.currency.clone(),
regular_market_time: meta.regular_market_time.unwrap_or(0),
})
} else {
Err(format!("No data found for symbol: {}", symbol).into())
}
}
async fn fetch_multiple_stocks(symbols: &[&str]) -> Vec<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mut handles = Vec::new();
for &symbol in symbols {
let symbol_owned = symbol.to_string();
let handle = tokio::spawn(async move {
fetch_stock_data(&symbol_owned).await
});
handles.push(handle);
}
let mut results = Vec::new();
for handle in handles {
match handle.await {
Ok(result) => results.push(result),
Err(e) => results.push(Err(e.into())),
}
}
results
}
fn format_timestamp(timestamp: i64) -> String {
match Utc.timestamp_opt(timestamp, 0) {
chrono::LocalResult::Single(datetime) => datetime.format("%Y-%m-%d %H:%M:%S").to_string(),
_ => "Invalid timestamp".to_string(),
}
}
#[tokio::main]
async fn main() -> Result<(),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symbols = [
"005930.KS", // 삼성전자
"AAPL", // Apple
"TSLA", // Tesla
"LIT",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BRK-B", // Berkshire Hathaway Class B
"AMZN", // Amazon
"O", // Realty Income Corporation
"TQQQ", // ProShares UltraPro QQQ
"XOM", // Exxon Mobil
"WMT", // Walmart
];
println!("Fetching stock data...\n");
let results = fetch_multiple_stocks(&symbols).await;
// 테이블 헤더 출력
println!("{:<3} {:<10} {:<35} {:<15} {:<8} {:<20}",
"No.", "Symbol", "Long Name", "Regular Price", "Currency", "Regular Market Time");
println!("{}", "-".repeat(95));
for (i, result) in results.iter().enumerate() {
let row_number = i + 1;
match result {
Ok(stock) => {
println!("{:<3} {:<10} {:<35} {:<15.2} {:<8} {:<20}",
row_number,
stock.symbol,
if stock.long_name.len() > 35 {
format!("{}...", &stock.long_name[..32])
} else {
stock.long_name.clone()
},
stock.regular_market_price,
stock.currency,
format_timestamp(stock.regular_market_time)
);
}
Err(e) => {
println!("{:<3} {:<10} {:<35} {:<15} {:<8} {:<20}",
row_number,
symbols[i],
"Error fetching data",
"N/A",
"N/A",
"N/A"
);
}
}
}
Ok(())
}
앞 부분에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이 있어서
먼저 Cargo.toml에 chrono 크레이트를 추가해야 합니다.
chrono 버전에 커서를 갖다대보니 버전이 0.4.41로 표시되는데, 0.4 버전대이므로 그대로 둬도 문제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