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t에서 ::의 용도 정리표

::은 “어디에 속한 항목인지” 또는 “어떤 타입인지”를 명시할 때 쓰이며, enum일 수도, 모듈일 수도, 제네릭 타입 지정(Turbofish)일 수도 있으며, 연관 함수, 상수 또는 연관 상수에 접근할 때도 사용되고, 트레이트 경로를 통한 메소드 호출 시에도 사용됩니다.

1. Rust에서 ::의 용도 정리표

구분예시설명관련 키워드
모듈/경로 구분자std::fs::File모듈(std) → 하위 모듈(fs) → 항목(File)로 내려가는 경로 지정모듈(module), 네임스페이스(namespace)
enum variant 접근Option::Some(5)Optionenum 안의 Somevariant에 접근enum
연관 함수(associated function) 접근String::from(“hi”)타입(String)의 연관 함수(from) 호출struct, enum, trait
상수 또는 연관 상수 접근std::f64::consts::PIf64타입의 연관 상수 PI에 접근상수(const)
Turbofish (제네릭 타입 명시)“42”.parse::<i32>()제네릭 함수의 타입 매개변수를 명시적으로 지정제네릭(Generic)
제네릭 타입 생성 시 타입 지정Vec::<i32>::new()제네릭 타입(Vec<T>)의 매개변수를 명시적으로 지정제네릭 타입
트레이트 경로를 통한 메서드 호출<T as SomeTrait>::method()특정 트레이트에 정의된 메서드를 명시적으로 호출트레이트(impl 충돌 해결용)

2. 예시 모음

mod math {
    pub const PI: f64 = 3.14;
}

#[derive(Debug)]
#[allow(dead_code)]
enum Color {
    Red,
    Blue,
}

fn main() {
    // 1️⃣ 모듈 경로
    println!("{}", math::PI);        // -> 3.14

    // 2️⃣ enum variant 접근
    let c = Color::Red;
    println!("{c:?}");

    // 3️⃣ 연관 함수
    let s = String::from("hello");
    println!("{s:?}");

    // 4️⃣ Turbofish
    let n = "42".parse::<i32>().unwrap();
    println!("{n:?}");

    // 5️⃣ 제네릭 타입 지정
    let v = Vec::<i32>::new();
    println!("{v:?}");

    // 6️⃣ 트레이트 메서드 명시 호출
    use std::string::ToString;
    let x = 10;
    let s = <i32 as ToString>::to_string(&x);
    println!("{}", s);  // "10"
}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의 다양한 용도 실행 결과

Workspace, Trait, Test and Run

Setting up a Cargo workspace is the cleanest way to manage both your aggregator library and the aggregator_app binary in one place.


Ⅰ. Setting Up a Cargo workspace

1. Create a new workspace folder

Make a parent folder (say aggregator_workspace):

mkdir aggregator_workspace
cd aggregator_workspace

2. Create the workspace manifest

Inside it, create a Cargo.toml file:

[workspace]
members = [
    "aggregator",
    "aggregator_app",
]

This tells Cargo that both crates are part of one workspace.


3. Add your crates

Now create the two crates inside the workspace:

cargo new aggregator --lib
cargo new aggregator_app

Now the folder structure looks like this:

aggregator_workspace
├── Cargo.toml      # Workspace manifest
├── aggregator      # Library crate
│   ├── Cargo.toml
│   └── src/lib.rs
└── aggregator_app  # Binary crate
    ├── Cargo.toml
    └── src/main.rs

4. Define the library

Edit aggregator/src/lib.rs:

pub fn summarize(text: &str) -> String {
    format!("Summary: {}", text)
}

5. Link the binary to the library

In aggregator_app/Cargo.toml, add the dependency:

[dependencies]
aggregator = { path = "../aggregator" }

6. Use it in the binary

Edit aggregator_app/src/main.rs:

use aggregator::summarize;

fn main() {
    let text = "Rust makes systems programming fun and safe!";
    let summary = summarize(text);
    println!("{}", summary);
}

7. Build and run

From the workspace root:

cargo run -p aggregator_app

Output:

Summary: Rust makes systems programming fun and safe!

✅ Now you have:

  • aggregator → library crate
  • aggregator_app → binary crate
  • managed together in one workspace.

Ⅱ. How to Test the Library

Let’s extend the workspace so you can test your aggregator library while also running the app. There are two ways to test library, one is adding tests inside the library and the other is adding separate integration tests in a tests/ directory


1. Add tests inside the library

Edit aggregator/src/lib.rs:

/// Summarize a given text by prefixing it.
pub fn summarize(text: &str) -> String {
    format!("Summary: {}", text)
}

// Unit tests go in a special `tests` module.
#[cfg(test)]
mod tests {
    // Bring outer functions into scope
    use super::*;

    #[test]
    fn test_summarize_simple() {
        let text = "Hello Rust";
        let result = summarize(text);
        assert_eq!(result, "Summary: Hello Rust");
    }

    #[test]
    fn test_summarize_empty() {
        let text = "";
        let result = summarize(text);
        assert_eq!(result, "Summary: ");
    }
}

2. Run the tests

From the workspace root:

cargo test -p aggregator

Output (example):

running 2 tests
test tests::test_summarize_simple ... ok
test tests::test_summarize_empty ... ok

test result: ok. 2 passed; 0 failed

3. Run the app

From the same root:

cargo run -p aggregator_app

Output:

Summary: Rust makes systems programming fun and safe!

4. (Optional) Integration tests

You can also add separate integration tests in a tests/ directory inside the aggregator crate:

aggregator/
├── Cargo.toml
├── src/lib.rs
└── tests
    └── integration_test.rs

tests/integration_test.rs:

use aggregator::summarize;

#[test]
fn integration_summary() {
    let text = "Integration testing is easy!";
    let result = summarize(text);
    assert_eq!(result, "Summary: Integration testing is easy!");
}

Run all tests in the workspace:

cargo test

✅ Now you have:

  • Unit tests inside src/lib.rs
  • Integration tests in tests/
  • Ability to run tests and app from the same workspace.

Mut와 Shadowing

Mut는 “변수의 값을 바꿀 수 있다(mutable)”는 의미이고, Shadowing은 “같은 변수명을 사용해서 이전의 변수를 가리는” 기능입니다. Shadowing을 통해 Mut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고, 둘 다 사용하지 않는다면 변수명을 여러 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1. Mut를 사용한 경우

아래 예시는 x를 mutable(가변) 변수로 선언한 다음
=> let mut x = 9;

x의 값을 바꿔가면서 원하는 값인 final_number를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 x = times_two(x);
=> x = x + y;
이 때 반환값은 x라고 ;없이 씁니다.

fn times_two(number: i32) -> i32 {
    number * 2
}
fn main() {
    let final_number = {
        let y = 10;
        let mut x = 9;
        x = times_two(x);
        x = x + y;
        x
    };
    println!("The number is now:{}", final_number);
}

그러나, let final_number가 끝나는 지점에는 let 문이므로 ;을 반드시 붙여야 합니다. 안 붙이면 아래와 같이 ;을 기대했는데, println이 발견됐다는 에러가 표시됩니다.

let문은 ;으로 끝나야 하는데, ;이 없어 에러가 남

Rust의 특이한 점이 불변(immutable)이 변수의 기본 상태이고, 변수의 값을 바꿀 수 있게 하려면 mut를 붙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 함수 구문

fn times_two(number: i32) -> i32 {
    number * 2
}

Rust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는 fn을 사용하고 그 다음에 함수명을 붙이는 것은 다른 언어와 같습니다.

그 다음 괄호 안에 인수명을 입력하는데, 여기서는 number이고,

반드시 인수의 타입을 입력해야 하는데, : 다음에 i32 식으로 “32비트 부호 있는 정수” 타입이라고 명시합니다.

이것이 변수의 경우 추론(inference)이 돼서 타입을 반드시 기재해야 할 필요가 없는 것과 다른 점입니다. 변수의 경우 정수는 i32, 실수는 f64가 기본형입니다.

그리고, 반환 값이 있으면 반환 값의 형식도 입력해야 하는데,
-> 다음에 i32식으로 입력합니다.

따라서, 반환값이 없으면 ‘-> 반환 값 형식’을 입력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괄호 안에 함수의 내용을 기록하고, 반환값을 마지막에 입력하는데, 여기서는 반환값이 number * 2로 인수에 2를 곱한 값을 반환하는 것인데, 마지막에 ;을 붙이지 않는 것도 중요한 점의 하나입니다.

2. Shadowing을 사용한 경우

Shadowing은 “그림자처럼 따라 다님”이란 의미이므로, 여기서는 원래 있던 x 변수를 가리는 역할을 합니다.

Shadowing을 이용하게 되면 x = 을 let x =이라고 쓰고,
처음 변수 선언할 때 mut 없이 let x = 9;이라고 씁니다.

fn times_two(number: i32) -> i32 {
    number * 2
}
fn main() {
    let final_number = {
        let y = 10;
        let x = 9;
        let x = times_two(x);
        let x = x + y;
        x
    };
    println!("The number is now:{}", final_number);
}

만약 let mut x = 9;라고 mut를 붙여도 결과는 같지만,
‘변수가 mutable일 필요가 없다”는 경고와
mut를 제거하라는 도움말이 표시됩니다.

가변 변수가 아닌데, mut가 붙어 있어서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고, mut를 제거하라는 도우말이 표시됨

3. shadowing과 mut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fn times_two(number: i32) -> i32 {
    number * 2
}
fn main() {
    let final_number = {
        let y = 10;
        let x = 9;
        let twice_x = times_two(x);
        let twice_x_and_y = twice_x + y;
        twice_x_and_y
    };
    println!("The number is now:{}", final_number);
}

1과 2 예제에서는 변수명으로 x 하나만을 사용했는데,

이번 예제 3에서는 x, twice_x, twice_x_and_y라는 변수 3개를 사용해야 해서 매우 번거롭습니다.

Rust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의미 및 읽는 방법

Rust는 소유권, 빌림, 트레이트 등 문법도 복잡하지만, 기호도 처음 보는 것이 많아 헷갈리게 하는데 정리해봤습니다. 인쇄해놓고 보면 좋을 듯 합니다.

기호 / 표기의미설명예시영어 읽기한국어 읽기
!매크로이름 뒤에 붙어 해당 이름이 매크로임을 표시println!, dbg!, vec!macro / bang매크로
?에러 전파Result나 Option에서 에러를 즉시 반환let x = foo()?;question mark물음표
::경로 연산자모듈, 구조체, 함수 등의 경로 지정std::io::Resultdouble colon더블 콜론 / 경로 연산자
*역참조참조 값을 직접 접근*r = 10;asterisk / deref별 / 역참조
_와일드카드사용하지 않는 값, 이름 무시let _ = foo();underscore언더스코어 / 무시
->함수 반환 타입함수 반환을 표시fn foo() -> i32 { 5 }arrow화살표 / 반환
=>매칭 암시match에서 패턴 결과 지정match x { 1 => “one”, _ => “other” }fat arrow두꺼운 화살표 / →
::<turbofish제네릭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Vec::<i32>::new()turbofishturbofish / 제네릭 타입 명시
..범위 연산자일부 범위, 구조체 업데이트 등에 사용0..5, ..Default::default()dot dot범위 / 나머지 필드
..=포함 범위끝 값을 포함하는 범위0..=5dot dot equal포함 범위
&참조변수/값을 빌려오기let r = &x;reference참조
&mut가변 참조변수/값을 가변으로 빌려오기let mr = &mut y;mutable reference가변 참조
ref/ ref mut패턴용 참조패턴 매칭에서 참조를 얻음let Point { x: ref r, .. } = p;ref / ref mut참조 / 가변 참조 패턴
mut가변성변수 또는 참조를 변경 가능하게let mut x = 5;mut뮤트 / 가변
..(패턴)구조체/튜플 패턴일부 필드만 바인딩하고 나머지 무시Point { x, .. }dot dot범위 / 나머지 필드 무시
라이프타임참조가 유효한 범위를 지정&’static strsingle quote / tick라이프타임 / 스태틱 라이프타임

ChatGPT의 도움을 받았는데, ChatGPT도 헷갈려 하네요.
예를 들어 *를 asterisk라고 하고, !를 bang이라고 하고 헷갈리네요.

하나 더 참고

'Underscore'와 'underbar'는 같은 기호(_)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으로, 'underscore'가 정식 명칭이고 'underbar'는 비정식적인 표현입니다.

Git: Rust 도입 및 빌드 시스템에서 필수화 발표

GeekNes에 올라와 있는 12시간전 소식인데, Git 프로젝트에서 Rust를 코어에 도입하고, Git 3.0부터는 Rust가 빌드 필수 요건이 될 것임을 공식 발표했다고 합니다.

아래는 자세한 내용입니다.

  • Git 프로젝트는 앞으로 Rust를 코어에 도입하고, Git 3.0부터는 Rust가 빌드 필수 요건이 될 것임을 공식 발표
  • 이번 패치 시리즈는 과거 C99 기능 도입처럼 시험적 도입(test balloon) 성격으로 진행되며, Rust 도입 인프라를 점진적으로 마련하는 목적
  • 첫 단계로 의존성이 거의 없는 varint.c 모듈을 Rust로 변환하여 C-Rust 상호운용성과 빌드 툴링을 검증함
  • 현재는 Meson 빌드만 지원하며, 향후 Makefile 지원과 CI에서 Rust 빌드 검증 및 cargo format 기반 포맷 일관성 검사를 추가할 예정
  • 이는 Git 커뮤니티와 배포자들에게 새로운 Rust 툴체인 요구사항에 적응할 시간을 주면서, 장기적으로 코드 안전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중요한 변화임

1. Rust 도입 배경

  • Git은 안정성과 유지보수를 위해 언어적 진화를 검토해왔음
  • Rust 도입은 메모리 안전성 강화현대적 툴체인 활용성능 최적화 가능성 확보라는 의미가 있음
  • 아울러 현대적인 언어 도입을 통해 보다 견고한 코드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함
  • Git 3.0 릴리스 시점에는 Rust가 반드시 필요해짐을 사전 공지하여 생태계 준비 시간을 확보하려는 목적
  • 단계적으로 Rust 코드 적용 범위를 확대하며, 궁극적으로 일부 핵심 기능도 Rust로 재구현할 방침

2. 시험적 패치 시리즈

  • Rust 첫 적용 모듈로 varint.c를 선택
    • 매우 단순하고 의존성이 없음
    • C ↔ Rust interop 검증 가능
    • Git 전체 기능에 영향 없이 실험 가능
  • 모든 테스트는 varint.rs 버전에서 통과함

3. 빌드 시스템 변화

  • 현재는 Meson 빌드 시스템에서만 Rust 지원 추가
  • 향후 Makefile에도 Rust 지원을 추가할 계획임
  • CI 관련 작업도 준비 필요
    • Rust 빌드 및 동작 검증
    • cargo format을 통한 코드 스타일 일관성 확보
    • 기타 툴링 및 유지보수 자동화

4. 향후 계획

  • 이번 작업은 Rust 기능 자체보다 도입 프로세스 실험에 초점이 있음
  • 이후에는 xdiff 모듈을 포함해 더 많은 Git 내부 기능을 Rust로 재작성할 수 있음
  • Rust를 점진적으로 확장 적용하면서 생태계 전체가 Rust 기반 빌드 환경에 적응하도록 유도할 예정

5. 시사점

  • Git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언어적 전환을 준비 중임
  • Rust 필수화를 통해 안전성·유지보수성·장기적 발전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음
  • 배포자 및 개발자들은 향후 Git 생태계에서 Rust 개발 환경 구축이 필수가 될 것임

그동안 Rust의 장점에 대한 내용은 많았는데, 보급이 잘 안돼서 의구심이 있었는데, 이런 소식을 듣게되니 힘이 납니다.

이 소식을 포함해서 댓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바랍니다.

https://news.hada.io/topic?id=23190

Web 접속 방법 Rust, Python 비교

러스트의 경우 처음에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포트를 열어놓고 Cargo run을 하라고 하여 Python은 포트를 열 필요없이 잘 접속되는데 해서 비교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보면 파이썬은 편리한 상태를 만들어 놓았는데, Rust는 처음부터 내가 만들어가야 하는 상황입니다.

1. Rust를 이용한 웹 접속

가. 명령 프롬프트 방식

(1) 명령 프롬프트에서 프트 열기

chromedriver –port=9515를 실행해서 Chromedriver를 실행시킵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9515 포트 열기

Chromedriver가 Path에 있다면 그냥 실행하면 되는데, path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chromedriver.exe가 있는 폴더로 이동해서 실행했습니다.

(2) 브라우저 열기 Rust 코드

(가) Cargo.toml
[dependencies]
thirtyfour = "0.36.1"
tokio = { version = "1", features = ["full"] }

thirtyfour와 tokio 라이브러리를 가져와야 합니다.

(나) main.rs
use thirtyfour::prelude::*;
use tokio;

#[tokio::main]
async fn main() -> WebDriverResult<()> {
    // 이미 chromedriver가 9515 포트에서 실행 중이라고 가정
    let driver = WebDriver::new("http://localhost:9515", DesiredCapabilities::chrome()).await?;

    // 페이지 접속
    driver.get("https://www.rust-lang.org").await?;

    // 타이틀 가져오기
    let title = driver.title().await?;
    println!("Page title: {}", title);

    // 종료
    driver.quit().await?;
    Ok(())
}

코드이 내용은 port가 열려 있기 때문에 다시 열 필요는 없고, 9515 포트로 driver를 설정한 다음, rust-lang.org에 접속한 후 title을 가져와서 화면에 출력하는 것입니다.

문제 없이 코드가 실행되고, title이 표시됩니다.

cargo run을 이용해 rust-lang-org에 접속한 후 타이틀을 가져와 화면에 출력

나. 코드로 포트 열기 방식

명령 프롬프트에서 포트를 연 다음 Cargo run을 한다는 것이 이상하므로 Rust에서 포트를 열고, 실행하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Cargo.toml은 동일하고,

main.rs만 아래와 같이 수정하면 됩니다.

use std::process::Command;
use thirtyfour::prelude::*;
use tokio;

#[tokio::main]
async fn main() -> WebDriverResult<()> {
    // 실행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경로
    let exe_dir = std::env::current_exe()
        .unwrap()
        .parent()
        .unwrap()
        .to_path_buf();
    let chromedriver_path = exe_dir.join("chromedriver.exe");
    println!("chromedriver 경로: {}", chromedriver_path.display());

    // chromedriver 실행
    let mut child = Command::new(&chromedriver_path)
        .arg("--port=9515")
        .spawn()
        .expect("chromedriver 실행 실패");

    // WebDriver 클라이언트 연결
    let caps = DesiredCapabilities::chrome();
    let driver = WebDriver::new("http://localhost:9515", caps).await?;

    driver.get("https://www.rust-lang.org").await?;
    println!("현재 페이지 타이틀: {}", driver.title().await?);

    // 브라우저 닫기
    driver.quit().await?;
    // chromedriver 프로세스 종료
    child.kill().ok();

    Ok(())
}

use std::process::Command;가 추가되었습니다.

main에서 먼저 chromedriver_path를 설정하고,

Command::new를 이용해 포트를 연 다음 child에 저장하고,

caps는 python Selenium에서 사용하는 ChromeOptions 역할입니다. 기본적인 옵션만 설정하는 것입니다. caps.add_arg(“–headless”)?; 등을 추가해서 옵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WebDriver::new로 http://localhost:9515라고 9515포트를 이용해 localhost를 연 다음

driver.get로 https://www.rust-lang.org를 연 다음

driver.title().await?로 title을 가져와서 화면에 출력합니다.

아래는 Visual Studio Code에서 Run한 장면입니다.

Compile과 실행 잘 되고, ChromeDriver was started successfully on port 9515.와

현재 페이지 타이틀 : Rust Programming Language라고 잘 나옵니다.

9515 포트 열기와 rust-lang.org에 접속해서 title 가져오기를 통합한 실행 화면

2. Python을 이용한 웹 접속

가. chrome_connect.py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hrome.service import Service
import os

def main():
    # 실행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기준으로 chromedriver.exe 찾기
    exe_dir = os.path.dirname(os.path.abspath(__file__))
    chromedriver_path = os.path.join(exe_dir, "chromedriver.exe")

    # chromedriver.exe 고정 경로
    # chromedriver_path = r"C:\android\chromedriver.exe"
    # print(f"chromedriver 경로: {chromedriver_path}")

    # chromedriver 실행 (포트 지정 없이 내부적으로 관리)
    service = Service(chromedriver_path)
    options = webdriver.ChromeOptions()

    driver = webdriver.Chrome(service=service, options=options)

    try:
        driver.get("https://www.rust-lang.org")
        print(f"현재 페이지 타이틀: {driver.title}")
    finally:
        driver.quit()

if __name__ == "__main__":
    main()

Python은 Cargo.toml과 같은 설정이 필수가 아니고,

바로 python code를 위와 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파이썬으로 chromedriver를 실행한 후 rust-lang.org의 타이틀을 화면에 출력

나. 코드 내용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hrome.service import Service
import os

필요한 selenium과 os 라이브러리를 불러옵니다.

    # 실행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기준으로 chromedriver.exe 찾기
    exe_dir = os.path.dirname(os.path.abspath(__file__))
    chromedriver_path = os.path.join(exe_dir, "chromedriver.exe")

    # chromedriver.exe 고정 경로
    # chromedriver_path = r"C:\android\chromedriver.exe"


실행 파일이 있는 폴더의 chromedriver.exe를 chromedriver_path로 설정합니다.

주석 처리한 것처럼 고정 경로로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PC에서만 작업한다면 이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print(f"chromedriver 경로: {chromedriver_path}")

chromedriver_path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 chromedriver 실행 (포트 지정 없이 내부적으로 관리)
service = Service(chromedriver_path)
options = webdriver.ChromeOptions()

Service 메소드를 이용해 service를 생성하고, webdriver.ChromeOptions()로 크롬 설정을 기본으로 합니다.

driver = webdriver.Chrome(service=service, options=options)

service와 options 설정으로 크롬을 열고, driver 객체에 담습니다.

    try:
driver.get("https://www.rust-lang.org")
print(f"현재 페이지 타이틀: {driver.title}")
finally:
driver.quit()

www.rust-lang.org 열기를 시도해서 성공하면 페이지의 타이틀을 driver.title로 가져와서 화면에 표시합니다.

그리고, 크롬을 종료합니다.

3. 러스트와 파이썬 비교

Rust는 Port를 반드시 지정해야 하는데, Python은 selenium을 이용하기 때문에 포트를 지정할 필요가 없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세히 말하면 Rust의 thirtyfour는 W3C WebDriver 프로토콜을 따르는 라이브러리라서, chromedriver.exe를 서버처럼 띄우고 http://localhost:9515 같은 포트를 통한 HTTP 요청으로 제어하는데 비해

Python의 selenium은 내부적으로 chromedriver.exe를 subprocess로 실행하고, 외부에서 포트 번호를 직접 지정할 필요 없이 Selenium이 알아서 관리합니다.

4. 실행 파일 사이즈

pyinstaller -F -w chrome_connect.py로 실행한 후 파일 사이즈를 보면

18메가 정도되는데,

cargo run으로 생성한 실행 파일 크기는 8메가 정도되는데,

cargo build –release해서 만든 Rust 실행 파일을 보면 4메가 정도로 파이썬 18메가의 22%뿐이 안됩니다.

속도도 미세하지만 Rust가 빠른 듯 합니다.

Rust 까다롭고, 생소한 측면이 너무 많지만 좋기때문에 자꾸 익히고 적응해나가야 하겠습니다.

구조체와 열거형의 복잡한 패턴 매칭과 가변 바인딩

구조체(Struct)와 열거형(Enum)의 여러가지 패턴 매칭(Match) 방법과 가변 바인딩(mutable bind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조체 분해후 바인딩, if let, _, .., | 등의 사용법과 참조와 Shadowing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1. 구조체(Struct)에서 복잡한 패턴 매칭과 가변 바인딩

가. 구조체 필드 일부만 매칭하기:

구조체 패턴에서 모든 필드를 반드시 매칭하지 않아도 되며, ..을 써서 나머지 필드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struct Point {
x: i32,
y: i32,
z: i32,
}

fn main() {
let p = Point { x: 1, y: 2, z: 3 };

match p {
Point { x, .. } => println!("x 값에만 관심 있음: {}", x),
}
}

나. 가변 바인딩 (mutable binding)

기본적으로 Rust의 match에서 바인딩된 변수는 불변입니다. 가변으로 만들려면 mut 키워드를 변수 바인딩 전에 붙입니다.

let mut p = Point { x: 1, y: 2, z: 3 };

match &mut p { // 구조체를 가변 참조로 매칭
Point { x, y, .. } => {
*x += 10; // 가변 참조로 접근 가능
*y += 20;
println!("변경된 x: {}, y: {}", x, y);
}
}
  • 위 예에서 &mut p로 가변 참조를 패턴 매칭했고, 패턴 안의 x와 y는 가변 참조(&mut i32)가 되어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 구조체 분해 후 변수 재바인딩

let p = Point { x: 10, y: 20, z: 30 };
let Point { x: a, y: b, z: c } = p;
println!("a: {}, b: {}, c: {}", a, b, c);

a, b, c가 각각 p의필드 값에 바인딩됩니다.

2. 열거형(Enum)에서 복잡한 패턴 매칭과 가변 바인딩

가. 열거형 variant에 포함된 여러 필드 매칭

enum Message {
Quit,
Move { x: i32, y: i32 },
Write(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fn main() {
let mut msg = Message::Move { x: 10, y: 20 };

match &mut msg {
Message::Move { x, y } => {
*x += 5; // 가변 참조로 내부 값 변경 가능
*y += 5;
println!("이동 좌표 변경: x={}, y={}", x, y);
}
_ => {}
}
}
  • match &mut msg를 통해 열거형 값을 가변 참조로 매칭하면, 내부 필드도 가변 참조로 바인딩되어 값 변경이 가능합니다.

나. 특정 variant만 언패킹하기

if let Message::Write(text) = msg {
println!("메시지: {}", text);
}
  • if let 문법을 활용해 관심 있는 variant 한 가지만 매칭해 변수 바인딩 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 여러 variant를 한 패턴에 묶기

match msg {
Message::Quit | Message::Write(_) => println!("Quit 또는 Write variant"),
_ => println!("다른 variant"),
}
  • 여러 variant를 하나로 합쳐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3. 패턴 바인딩 시 참조와 가변성

  • 기본적으로 match 패턴 내 변수 바인딩은 값 소유권을 가져오거나 복사하지만, 참조 및 가변 참조로도 바인딩할 수 있습니다.
let p = Point { x: 10, y: 20, z: 0 };

match &p { // 불변 참조 패턴 매칭
Point { x, y, .. } => println!("x={}, y={}", x, y),
}

let mut p2 = Point { x: 0, y: 0, z: 0 };

match &mut p2 { // 가변 참조 패턴 매칭
Point { x, y, .. } => {
*x += 1;
*y += 1;
println!("수정된 값 x={}, y={}", x, y);
}
}
  • 참조에 따라 변수 바인딩 시 가변성 여부가 달라지고, 이를 통해 구조체 또는 열거형 내부 값을 안전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변수 이름 재사용(shadowing)과 패턴 매칭

패턴 매칭 시, 이전에 바인딩된 변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써도 새로운 바인딩이 생성됩니다.

let x = 5;
let p = Point { x: 10, y: 20, z: 30 };

match p {
Point { x, y, .. } => {
// 여기 x는 패턴 내의 새 바인딩, 밖의 x와 다른 변수
println!("패턴 매칭 내의 x: {}, 외부 x: {}", x, 5);
}
}

5. 요약 정리

기능예시 (일부만)설명
구조체 부분 패턴 매칭Point { x, .. }특정 필드만 분해, 나머지는 무시
가변 참조 매칭match &mut p와 Point { x, y, .. }구조체 필드를 가변 참조로 바인딩해 값 수정 가능
열거형 가변 매칭match &mut msg와 Message::Move { x, y }enum 내부 필드를 가변 참조로 바인딩해 값 수정 가능
if let 구문if let Message::Write(text) = msg특정 variant만 골라 간단히 바인딩 후 처리
패턴 내 변수 이름 재사용Point { x, y } 내 x는새로운 바인딩기존 변수와 이름이 동일해도 새 변수로 처리

이상으로 구조체와 열거형에서 변수 바인딩 시 사용하는 다양한 패턴 매칭 기법과 가변 바인딩 방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자바 클래스, 인터페이스와 러스트의 구조체, 메소드, 트레이트 방식 비교

자바(Java)는 모든 메소드를 클래스 내부에 정의합니다. 그러나, 러스트(Rust)는 데이터 구조(Struct)와 메소드(Impl block)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구조체 안에는 데이터만 정의하고, 별도의 impl 블록에서 그 구조체에 대한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Ⅰ. 데이터 구조, 메소드 구현 방식 비교

1. 자바: 클래스 내부에 메소드

자바(Java)는 모든 메소드를 클래스 내부에 정의합니다. 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특징으로, 데이터(필드)와 행동(메소드)이 하나의 단위(클래스)에 밀접하게 결합(cohesion)되어 있습니다.

2. 러스트: 구조체와 메소드의 분리

러스트(Rust)에서는 데이터 구조(Struct)와 메소드(Impl block)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구조체 안에는 데이터만 정의하고, 별도의 impl 블록에서 그 구조체에 대한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3. 장단점

구분자바(메소드=클래스 내부)러스트(메소드=구조체 외부)
응집성데이터와 행동이 하나에 묶임데이터와 행동이 분리되어 명확
확장성상속 등 OOP 구조 확장 용이Trait, 여러 impl로 유연하게 확장
가독성클래스 안에서 한 번에 파악 가능데이터 정의와 메소드 구현 분리
유연성하나의 클래스가 하나의 메소드 집합같은 구조체에 여러 impl, trait 구현 가능
재사용성상속, 인터페이스로 구현Trait 등으로 다양한 방식의 재사용
관리의 용이성대형 클래스에서 복잡해질 수 있음관련 없는 메소드를 구조체와 별도 구현 가능
코드 조직화OOP 방식(클래스-중심)데이터 중심(struct), 행동 분리(impl, trait)
  • 자바는 객체 중심의 응집력, 개발 및 이해 용이성이 강점이나, 큰 클래스가 복잡해지거나 상속 구조의 한계 등이 있습니다.
  • 러스트는 데이터와 행동의 분리로 역할이 명확하며, trait 기반의 확장성과 안전성이 강점이지만, 초보자에겐 코드 연관성 파악이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Ⅱ. 예제를 통한 비교

1. 자바(Java)

자바에서는 데이터(필드)와 메소드가 한 클래스 내부에 정의되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맞춰 응집되어 있습니다.

public class Point {
private int x;
private int y;

// 생성자
public Point(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메소드: 두 점 사이 거리 계산
public double distance(Point other) {
int dx = this.x - other.x;
int dy = this.y - other.y;
return Math.sqrt(dx * dx + dy * dy);
}

// getter 메소드
public int getX() { return x; }
public int getY() { return y; }
}

// 사용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int p1 = new Point(0, 0);
Point p2 = new Point(3, 4);
System.out.println(p1.distance(p2)); // 출력: 5.0
}
}
  • 징: Point 클래스 내부에 데이터(x, y)와 동작(거리 계산 메소드)을 모두 포함.
  • 장점: 객체 지향적 응집성(cohesion) 강화, 한 곳에서 모든 관련 기능 파악 가능.
  • 단점: 클래스가 커질수록 복잡성 증가, 상속 구조 제한 등.

2. 러스트(Rust)

러스트는 데이터 구조체(struct)와 메소드 구현부(impl 블록)를 분리해서 작성합니다. 이로써 역할 분리가 명확해지고, 여러 impl 블록과 trait을 통해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정의: 구조체는 필드만 가짐
struct Point {
x: i32,
y: i32,
}

// 메소드 구현: impl 블록에서 정의
impl Point {
// 연관 함수(정적 메서드와 유사)
fn new(x: i32, y: i32) -> Point {
Point { x, y }
}

// 메소드: 두 점 사이 거리 계산
fn distance(&self, other: &Point) -> f64 {
let dx = (self.x - other.x) as f64;
let dy = (self.y - other.y) as f64;
(dx.powi(2) + dy.powi(2)).sqrt()
}
}

fn main() {
let p1 = Point::new(0, 0);
let p2 = Point::new(3, 4);
println!("{}", p1.distance(&p2)); // 출력: 5.0
}
  • 특징: struct는 데이터만 선언, 메소드는 별도의 impl 블록에서 구현.
  • 장점: 데이터와 행동이 분리되어 역할 명확, 여러 impl이나 trait로 기능 확장 유리, 컴파일타임 안전성 증대.
  • 단점: 관련 데이터와 메소드가 코드상 분리되어 있어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음, 전통적인 OOP 방식과 차이 있음.

3. 비교 표

항목자바(Java)러스트(Rust)
구조클래스 내부에 데이터와 메소드가 함께 있음구조체(데이터)와 impl 블록(메소드)로 분리
작성 방식한 클래스 파일 내에서 모든 정의struct로 데이터 정의, 별도 impl로 메소드 구현
확장성상속과 인터페이스 기반 확장 (단일 상속)여러 impl 블록과 trait 조합으로 유연하고 다중 확장 가능
가독성관련 데이터와 메소드가 한 곳에 있어 파악 용이데이터와 메소드가 분리되어 코드가 흩어질 수 있음
안전성런타임 검사 및 가비지 컬렉션컴파일 타임 소유권 및 빌림 검사로 메모리 안전성 강화
메모리참조 타입 중심, 힙 할당 및 가비지 컬렉션 필요값 타입 중심, 명확한 메모리 제어 및 성능 최적화 가능
객체 지향전통적인 OOP 완전 지원클래스는 없으나 trait로 인터페이스 역할 및 객체지향 유사 기능 제공

러스트의 구조체+impl 방식은 자바와는 다르게 데이터와 메소드가 분리되어 있지만, impl 블록 내에서 메소드를 묶어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의 많은 특징을 흉내 낼 수 있습니다. trait를 활용하면 인터페이스 역할도 하며, 상속 대신 다중 trait 구현으로 유연하게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Ⅲ . 자바의 상속과 인터페이스 구조와 러스트의 고급 Trait(트레이트) 및 패턴 비교

자바의 상속과 인터페이스 구조와 러스트의 고급 Trait(트레이트) 및 패턴을 심도 있게 비교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자바의 상속과 인터페이스 구조

가. 상속 (Inheritance)

  • 클래스 간에 “is-a” 관계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메커니즘입니다.
  •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아 멤버 변수와 메소드를 재사용하거나 오버라이드할 수 있습니다.
  • 단일 상속만 지원하여 다중 상속의 복잡성을 회피합니다.
  • 상속 구조가 깊어지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고, 부모 클래스 변경 시 자식 클래스에 의도치 않은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나. 인터페이스 (Interface)

  • 여러 클래스가 구현해야 하는 메소드의 명세(계약)를 정의합니다.
  • 자바 8부터는 디폴트 메소드 구현도 지원하여 일부 기능적 확장 가능.
  • 인터페이스의 다중 구현이 가능해 상속 단점을 보완하고 다형성 제공.
  • 인터페이스는 구현 메소드가 없거나 기본 구현만 제공하므로, 설계 시 유연성을 줌.
interface Flyer {
void fly();
}
class Bird implements Flyer {
public void fly() {
System.out.println("Bird is flying");
}
}
class Airplane implements Flyer {
public void fly() {
System.out.println("Airplane is flying");
}
}

2. 러스트의 고급 Trait 및 패턴

가. Trait(트레이트) 개념

  • 러스트의 트레이트는 특정 기능을 구현하도록 강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 타입에 따라 여러 트레이트를 다중으로 구현할 수 있어 매우 유연합니다.
  • 트레이트 내에 메소드 기본 구현(default method)을 제공해 부분 구현도 가능.
  • Trait는 다중 상속을 대체하며, 조합(composition) 및 다형성을 지원합니다.

나. 고급 트레이트 특징

(1) 동일 메소드명을 가진 다중 트레이트 구현 (충돌 해결)

  • 예를 들어, 같은 이름 fly() 메소드를 가진 서로 다른 트레이트 Pilot, Wizard를 Human 타입에 모두 구현 가능.
  • 호출 시 Pilot::fly(&human), Wizard::fly(&human)처럼 트레이트 이름을 명시해 충돌 해결.
trait Pilot {
fn fly(&self);
}
trait Wizard {
fn fly(&self);
}
struct Human;

impl Pilot for Human {
fn fly(&self) {
println!("This is your captain speaking.");
}
}

impl Wizard for Human {
fn fly(&self) {
println!("Up!");
}
}

impl Human {
fn fly(&self) {
println!("*waving arms furiously*");
}
}

fn main() {
let person = Human;
Pilot::fly(&person); // This is your captain speaking.
Wizard::fly(&person); // Up!
person.fly(); // *waving arms furiously*
}

(2) 슈퍼 트레이트 (Super-traits)

  • 한 트레이트가 다른 트레이트의 구현을 전제로 하는 경우 사용.
  • 예: OutlinePrint 트레이트가 Display 트레이트를 반드시 구현한 경우에만 구현 가능하도록 제한.
use std::fmt::Display;

trait OutlinePrint: Display {
fn outline_print(&self) {
// Display 기능 이용해 출력하는 구현
println!("*{}*", self);
}
}

(3) 제네릭과 트레이트 바운드 (Trait Bounds)

  • 함수, 구조체, 열거형 등에서 트레이트를 타입 매개변수 조건으로 지정하여 유연한 재사용성 제공.
fn print_info<T: Display + Clone>(item: T) {
println!("{}", item);
}

(4) Newtype 패턴

  • 외부 타입에 대해 새로운 타입을 만든 뒤 트레이트를 구현해 동작을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패턴.
  • 원래 타입의 구현과 격리돼 안전성과 캡슐화 유지에 도움.

다. 자바 상속-인터페이스와 러스트 Trait 패턴 비교

특징자바 (상속, 인터페이스)러스트 (고급 Trait 패턴)
다중 상속 지원 여부클래스는 단일 상속, 인터페이스 다중 구현 가능다중 트레이트 구현 완전 지원
메소드 충돌 처리인터페이스 디폴트 메소드 충돌은 명시적 오버라이딩 필요트레이트별로 명시적 호출(TraitName::method)로 충돌 처리
구현 분리 여부상속 기반으로 구현 내용 일부 공유, 부모-자식 직접 연관데이터와 행동 완전 분리, 여러 impl 블록과 트레이트로 유연한 구현
확장성 및 유연성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 활용 가능, 런타임 다형성 제공트레이트 조합 및 바운드로 더 강력하고 유연한 제네릭 기반 다형성 가능
안전성런타임에 예외 발생 가능, 컴파일 타임 타입 검사 제한컴파일 타임 엄격한 타입 검사 및 소유권 규칙으로 높은 안전성 보장
메모리 구조클래스는 힙에 할당, 가비지 컬렉션 필요구조체는 값 타입(STACK 기반), 트레이트 객체는 런타임에 크기를 모르는 타입 표현 지원

라. 러스트 Trait를 활용한 고급 설계 패턴 예시

(1) Trait 객체 (Trait Objects)

  • 런타임에 다양한 타입을 동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때 사용.
  • Box<dyn Trait> 형태로 포인터에 담아 추상화 제공.
trait Animal {
fn speak(&self);
}

struct Dog;
struct Cat;

impl Animal for Dog {
fn speak(&self) {
println!("Woof!");
}
}

impl Animal for Cat {
fn speak(&self) {
println!("Meow!");
}
}

fn make_animal_speak(animal: Box<dyn Animal>) {
animal.speak();
}

fn main() {
let dog = Box::new(Dog);
let cat = Box::new(Cat);

make_animal_speak(dog);
make_animal_speak(cat);
}

(2) 제네릭과 Trait Bound를 이용한 추상화

fn print_animal_speak<T: Animal>(animal: T) {
animal.speak();
}

(3) Newtype 패턴

struct Wrapper(Vec<String>);

impl std::fmt::Display for Wrapper {
fn fmt(&self, f: &mut std::fmt::Formatter) -> std::fmt::Result {
write!(f, "[{}]", self.0.join(", "))
}
}

5. 러스트 Trait 객체와 동적 디스패치(Dynamic Dispatch)

가. 기본 개념

  • 러스트의 Trait 객체는 런타임에 다양한 타입들을 추상화하고 동적으로 호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 구체적인 타입을 명시하지 않고 특정 트레이트를 구현한 여러 객체를 하나의 타입으로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 dyn Trait 키워드로 표현하며, 이때 메소드 호출은 컴파일 타임이 아닌 런타임에 결정(동적 디스패치)됩니다.

나. 장점

  • 다양한 타입에 대해 동일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실행 시점에 적절한 메소드가 호출됩니다.
  • 유연한 설계와 다형성 제공.

다. 단점

  • 동적 디스패치로 인해 약간의 성능 오버헤드 발생.
  • 컴파일 타임에 타입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보통 Box<dyn Trait>, &dyn Trait 형태로 사용.

예제 코드

trait Animal {
fn speak(&self);
}

struct Dog;

impl Animal for Dog {
fn speak(&self) {
println!("Woof!");
}
}

struct Cat;

impl Animal for Cat {
fn speak(&self) {
println!("Meow!");
}
}

fn animal_speak(animal: &dyn Animal) {
animal.speak();
}

fn main() {
let dog = Dog;
let cat = Cat;

animal_speak(&dog); // Woof!
animal_speak(&cat); // Meow!
}
  • animal_speak 함수는 타입이 &dyn Animal로, 호출하는 객체가 Dog이든 Cat이든 런타임에 올바른 speak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요약

  • 자바의 상속과 인터페이스는 클래스 중심의 단일 상속과 다중 인터페이스 구현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완성하며, 런타임 다형성을 제공합니다.
  • 러스트의 트레이트는 다중 상속을 대체하고, 유연한 기능 확장과 컴파일 타임 안전성을 제공하며, 타입별로 여러 트레이트를 조합해 강력한 추상화와 다형성을 구현합니다.
  • 러스트에서 트레이트는 충돌 해결, 슈퍼 트레이트, 제네릭 바운드, 트레이트 객체 등 다양한 고급 패턴으로 복잡한 설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두 언어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팀의 경험과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ust의 attribute 종류 및 의미

Rust에서의 attribute(속성)는 컴파일러에게 특정 코드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코드의 컴파일 방식 또는 동작 방식을 제어하거나, 경고/에러 메시지를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derive, allow, warn, cfg, test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1. attribute의 적용 범위별 종류

Rust의 attribute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종류형태 예시설명
Item attribute#[derive(Debug)]함수, 구조체 등 개별 항목에 적용
Crate attribute#![allow(dead_code)]크레이트 전체에 적용, 보통 파일 상단에 위치
Inner attribute#![cfg(test)]모듈 또는 크레이트 내부에 선언, 내부 항목에 영향을 줌
Outer attribute#[test]특정 항목(함수 등)에만 적용

2. 주요 attribute

가. 컴파일러 관련 attribute

Attribute설명예시
#[allow(…)]특정 경고를 무시#[allow(dead_code)]
#[warn(…)]경고를 표시 (기본값)#[warn(unused_variables)]
#[deny(…)]해당 사항이 있으면 컴파일 에러#[deny(missing_docs)]
#[forbid(…)]deny보다 강하게 재정의 불가#[forbid(unsafe_code)]

나. 파생(derive) 관련 attribute

Rust의 많은 기능은 trait을 자동으로 구현해주는 #[derive(…)]를 통해 사용합니다.

#[derive(Debug, Clone, PartialEq)]
struct Point {
x: i32,
y: i32,
}

Debug, Clone, PartialEq 트레이트를 자동 구현합니다.

다. 조건부 컴파일 관련 attribute

Attribute설명예시
#[cfg(…)]조건에 따라 컴파일 여부 결정#[cfg(target_os = “windows”)]
#[cfg_attr(…)]조건이 참일 때에만 다른 attribute 적용#[cfg_attr(test, derive(Debug))]

[cfg_attr(test, derive(Debug))]는 테스트를 실행할 때만 Debug 트레이트를 자동 구현합니다.

라. 테스트/벤치마크 관련 attribute

Attribute설명예시
#[test]단위 테스트 함수임을 표시#[test]
fn test_add() { … }
#[bench]벤치마크 함수 표시 (불안정)#[bench]
fn bench_sort(…)
#[ignore]테스트 실행 시 무시됨#[test] #[ignore]
fn test_heavy() {}

마. 매크로 관련 attribute

Attribute설명예시
#[macro_use]외부 크레이트의 매크로를 현재 스코프로 불러옴 (Rust 2015 방식)#[macro_use]
extern crate log;
#[proc_macro]프로시저 매크로 정의프로시저 매크로 crate에서 사용됨

바. 기타 유용한 attribute

Attribute설명예시
#[inline], #[inline(always)]함수 인라인화 힌트#[inline(always)]
fn fast_fn() {}
#[repr(C)]구조체 메모리 레이아웃 C와 호환#[repr(C)]
struct MyStruct { … }
#[non_exhaustive]미래 확장을 위해 열거형 등의 exhaustive 검사 방지#[non_exhaustive]
enum MyEnum { … }
#[must_use]반환값을 사용하지 않으면 경고#[must_use]
fn compute() -> i32 { … }

※ 함수를 호출할 때 일반적으로는 함수 본문은 어딘가에 있고 호출하면 그 함수로 점프(jump)해서 실행한 뒤 다시 돌아옵니다. 하지만 인라인화는 이런 점프 없이 함수의 코드를 호출한 곳에 ‘복붙’하듯 직접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사. #![…]과 #[…] 차이

구분형태설명
Inner attribute#![…]모듈, 크레이트 전체에 적용 (파일 상단에 위치)
Outer attribute#[…]특정 항목(함수, struct 등)에 적용

3. attribute 예제

가. #[derive(…)] — 트레이트 자동 구현

(1) 설명: 구조체(struct)나 열거형(enum)에 대해, 특정 트레이트의 기본 구현을 자동 생성합니다.

(2) 자주 사용되는 트레이트:

  • Debug : {:?} 포맷으로 출력 가능
  • Clone, Copy : 값 복사 가능
  • PartialEq, Eq : 값 비교 가능
  • PartialOrd, Ord : 정렬 가능
  • Hash : 해시 사용 가능

(3) 예제:

#[derive(Debug, Clone, PartialEq)]
struct Point {
x: i32,
y: i32,
}

fn main() {
let p1 = Point { x: 1, y: 2 };
let p2 = p1.clone(); // Clone 사용
println!("{:?}", p2); // Debug 사용
println!("p1 == p2? {}", p1 == p2); // PartialEq 사용
}

나. #[allow(…)], #[warn(…)], #[deny(…)], #[forbid(…)]

(1) 설명: 컴파일 경고/에러를 제어합니다. => 위 2.의 가. 컴파일러 관련 attribute 설명 참고

(2) 주요 옵션:

  • dead_code : 사용되지 않는 코드
  • unused_variables : 사용되지 않는 변수
  • non_snake_case : snake_case 규칙 위반

(3) 예제:

#[allow(dead_code)]
fn unused() {
println!("사용되지 않지만 경고 없음");
}

#[deny(unused_variables)]
fn foo() {
let x = 5; // 컴파일 에러 발생: 변수 사용 안 함
}

다. #[test], #[ignore] — 테스트 함수 지정

(1) 설명: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위한 attribute입니다.

(2) 예제:

#[cfg(test)]
mod tests {
#[test]
fn it_works() {
assert_eq!(2 + 2, 4);
}

#[test]
#[ignore]
fn heavy_test() {
// 실행하려면 `cargo test -- --ignored`
}
}

라. #[cfg(…)] — 조건부 컴파일

(1) 설명: 플랫폼, 기능 등에 따라 코드 포함 여부 결정

(2) 예제:

#[cfg(target_os = "windows")]
fn run_on_windows() {
println!("Windows 전용 코드");
}

#[cfg(not(target_os = "windows"))]
fn run_on_unix() {
println!("Unix 계열 전용 코드");
}

(3) Cargo.toml에서 feature와 연계:

[features]
my_feature = []
#[cfg(feature = "my_feature")]
fn my_func() {
println!("my_feature가 활성화됨");
}

“my_feature”라는 기능(feature)이 활성화됐을 때만 my_func() 함수의 정의 자체를 컴파일에 포함시키고, 아니면 아예 없는 코드처럼 무시해버립니다.

마. #[inline] — 인라인 최적화 힌트

(1) 설명: 컴파일러에게 해당 함수를 인라인하도록 유도

(2) 예제:

#[inline(always)]
fn fast_add(a: i32, b: i32) -> i32 {
a + b
}

fn main() {
let x = add(3, 4);
}
  • 일반 호출: main에서 add 함수로 점프하고, 결과를 받아와서 x에 저장
  • 인라인: 컴파일할 때 add(3, 4)를 그냥 3 + 4로 바꿔서 main 함수 안에 넣어버림

바. #[repr(…)] — 메모리 레이아웃 제어

(1) 설명: 구조체/열거형의 메모리 정렬 방법을 지정(repr은 representation(표현)의 약어)

(2) 종류:

  • C: C 언어와 동일한 레이아웃
  • packed: 패딩 없이 압축
  • transparent: 단일 필드 감싸기

(3) 예제:

#[repr(C)]
struct MyStruct {
a: u8,
b: u32,
}

사. #[non_exhaustive] — 미래 확장을 위한 열거형

(1) 설명: 나중에 항목이 더 생길 수 있으니, “지금 있는 것만 가지고 match를 완벽하게 쓰지 마세요“라는 의미입니다.

(2) 예제:

#[non_exhaustive]
pub enum Error {
Io,
Parse,
}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Error enum은 지금은 Io와 Parse 두 가지 variant만 있지만, 앞으로 새로운 variant가 추가될 수 있으므로 다른 크레이트에서는 이 enum을 match할 때 지금 있는 것만으로 열거하지 못하게 제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non_exhaustive]를 붙이면, 사용자는 반드시 _를 이용한 default arm을 추가해야만 컴파일이 가능하며, 이것은 다른 크레이트가 match를 지금 있는 것만으로 exhaustively(완전하게) 작성하면, 나중에 enum에 새로운 variant를 추가했을 때 컴파일이 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 #[must_use] — 반환값 사용하지 않으면 경고

(1) 설명: 실수로 무시하면 안 되는 반환값을 경고로 알려줌

(2) 예제:

#[must_use]
fn important_result() -> Result<(), String> {
Err("Error".into())
}

fn main() {
important_result(); // 경고 발생!
}

위 코드는 important_result 함수의 반환 값을 사용하지 않아 warning(경고)이 발생하므로 아래와 같은 식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fn main() {
    let result = important_result(); // OK
    if let Err(e) = result {
        println!("에러 발생: {}", e);
    }
}

자. #[macro_use], #[macro_export] — 매크로 관련

(1) 설명: 외부 crate의 매크로를 가져오거나 내보낼 때 사용

(2) 예제:

// 외부 매크로 사용
#[macro_use]
extern crate log;

// 매크로 정의 및 export
#[macro_export]
macro_rules! hello {
() => {
println!("Hello, macro!");
};
}
  • #[macro_use] : 외부 크레이트 log에서 정의된 매크로(log!, info!, warn! 등)들을 이 파일 안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져오라는 의미로서, 예전 Rust 스타일 (Rust 2018 이전)의 방식이며, 최신 Rust (2018 edition 이후)에서는 use log::info; 식으로 가져오는 게 일반적입니다.
  • #[macro_export] : 이 매크로를 다른 모듈/크레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게 공개(export)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매크로를 crate_name::hello!() 식으로 다른 crate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Rust의 특별한 용어 정리

Rust에는 소유권, 참조, 라이프타임 등 고유한 용어들이 있는데 이외에도 생소하거나 중요한 용어인 variant, field, pattern, match arm, block, scope, associated type, attribute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1. variant

  • 정의: enum에서 각각의 경우(상태/종류)를 의미.
  • 예시:
enum Color {
Red,
Blue,
Green,
}
let c = Color::Red; // Red는 Color 타입의 variant

여기서 Red, Blue, Green이 각각 variant이다.

2. field

  • 정의: struct(또는 enum의 variant)에 속하는 개별 데이터 항목.
  • 예시:
struct Point {
x: i32, // field
y: i32, // field
}
let p = Point { x: 1, y: 2 };

x와 y가 각각 field이고, i32는 각각의 field의 타입(type of the field 또는 필드형/필드 타입)입니다.

enum Message {
Quit, // 필드 없음
Move { x: i32, y: i32 }, // 필드 x, y가 있는 구조체 스타일
Write(String), // 이름 없는 튜플 스타일의 필드 String
ChangeColor(i32, i32, i32), // 이름 없는 튜플 스타일의 필드 i32
}

Message enum의 variant가 갖는 값 또는 구조가 곧 해당 variant의 “필드”입니다. 구조체 스타일인 경우는 필드 개념이 동일하며, 튜플 형식인 경우는 구조체와 달리 필드가 없지만 값이 필드가 됩니다.

enum은 이 필드(데이터) 덕분에, variant별로 타입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pattern

  • 정의: 값을 구조적으로 분해 처리하기 위한 형태. match, let, 함수 매개 변수 등에서 사용합니다.
  • 예시:
// struct Point 정의
struct Point {
x: i32,
y: i32,
}

fn main() {
// 튜플 패턴 예제
let (a, b) = (1, 2);
println!("a = {}, b = {}", a, b);

// 구조체 및 구조체 패턴 매칭 예제
let p = Point { x: 10, y: 20 };
match p {
Point { x, y } => println!("({}, {})", x, y),
}
}

패턴을 이용해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분해할 수 있다.

  • let (a, b) = (1, 2); => 오른쪽 (1, 2)는 타입이 (i32, i32)인 튜플이며, 이 값을 튜플로 받아서, 첫 번째 요소는 변수 a에, 두 번째 요소는 변수 b에 바인딩해줘”라는 뜻입니다.
  • match p {
    Point { x, y } => println!(“({}, {})”, x, y),
    } 에서
    Point { x, y }는 매칭 대상(p)이 해당 구조와 일치하는지 검사하고, 일치한다면 그 필드값을 변수로 분해해주는 패턴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atch에서 구조체 내부 값을 분해하고 싶으면 항상 이런 형태의 패턴을 사용하게 됩니다.

4. match arm

  • 정의: match 구문의 각분기(패턴 + 처리 블록).
  • 예시:
let n = 3;
match n {
1 => println!("One"), // arm 1
2 | 3 | 5 => println!("Prime"), // arm 2
_ => println!("Other"), // arm 3
}

각각이 match arm이며, 패턴과 실행할 코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match arm에서의 패턴(pattern)은, 매칭 대상이 되는 값이 어떤 구조나 값을 가지고 있는지 비교하고, 해당 구조와 일치하면 그 arm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match 구문의 각 arm(갈래, 분기)은 패턴 => 실행코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패턴은 값의 형태를 설명하거나 내부 값을 분해하는 구조입니다

4. block

  • 정의: 중괄호 {}로 둘러싸인 코드 구역. 블록은 표현식이며 값과 타입을 가진다.
  • 예시:
let result = {
let x = 2;
x * x // 마지막 표현식이 결과값이 됨
};
// result = 4

블록 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블록에서만 유효하다.

5. scope

  • 정의: 변수나 아이템이 유효한 코드의 범위.
  • 예시:
fn main() {
let x = 10; // x는 main 함수 블록(scope)에서만 유효
}

scope이 끝나면 변수는 더 이상 쓸 수 없다.

가. block과 scope 비교

(1) block

  • 코드에서 중괄호 {}로 둘러싸인 부분 자체를 block이라고 합니다.
  • 예시:rust{ let a = 1; println!("{a}"); }
  • 이 부분 전체가 block입니다.

(2) scope

  • scope는 어떤 변수(또는 아이템)를 ‘볼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코드의 범위’입니다.
  • scope는 보통 block에 의해 결정되지만, 완전히 같지는 않습니다.
    • 모든 block은 새로운 scope를 열지만,
    • scope의 개념은 block 외에도 함수, 모듈, crate 등 더 넓거나 좁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차이점 및 예제

  • block: { ... }로 감싸진 모든 코드 덩어리를 의미.
  • scope: 그 안에서 선언된 변수나 아이템이 유효한 코드의 범위.
  • 모든 block이 scope를 정의하지만, scope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

예시:

fn main() {                      // main 함수 block, 여기가 scope 시작
let outer = 10; // 'outer'의 scope는 main 함수 전체

{ // 새로운 block 시작, 이 안이 block scope
let inner = 20; // 'inner'의 scope는 이 중괄호 안
println!("{}, {}", outer, inner);
} // inner는 여기서 scope 종료

println!("{}", outer); // ok
println!("{}", inner); // 에러, inner는 scope out!
}

여기서 inner는 작은 block(scope)에만 존재.
outer는 main block(scope) 전체에 존재.

6. associated type

  • 정의: 트레잇에서 타입 매개변수 대신 트레잇에 연결된 타입을 선언.
  • 예시:
trait Iterator {
type Item; // associated type

fn next(&mut self) -> Option<Self::Item>;
}

struct Counter;
impl Iterator for Counter {
type Item = i32;
fn next(&mut self) -> Option<i32> { /* 구현 */ None }
}

Iterator 트레잇에서 Item이 associated type이다.

가. 타입 매개변수와 associated type(연관 타입)의 정의

(1) 타입 매개변수:

  • generic에서 사용하는 타입 변수입니다.
  • 예: trait MyTrait<T> { … }에서 T가 타입 매개변수입니다.

(2) associated type(연관 타입)

  • 트레잇에서 선언해서, 트레잇을 구현할 때 구체적으로 지정하는 타입입니다.
  • trait Iterator { type Item; … }에서 Item이 이에 해당.

두 가지의 차이를 간단히 예시로 정리하면:

방법선언 방식사용 예시주의점
타입 매개변수trait MyTrait<T> { … }struct Foo;
impl MyTrait<u32> for Foo { … }
사용 때마다 타입 지정 필요
associated typetrait MyTrait { type Output; … }struct Bar;
impl MyTrait for Bar { type Output = u32; }
트레잇 구현이 타입 결정

나. 예시

(1) 타입 매개변수(Generic parameter)를 사용하는 트레잇

// 타입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트레잇
trait MyTrait<T> {
fn foo(&self, x: T);
}

// 해당 트레잇을 구현하는 타입 예시
struct MyType;

impl MyTrait<i32> for MyType {
fn foo(&self, x: i32) {
println!("MyTrait<i32>::foo called with x = {}", x);
}
}

fn main() {
let t = MyType;
t.foo(100);
}

실행 결과:

MyTrait<i32>::foo called with x = 100

(2) Associated Type(연관 타입)을 사용하는 트레잇 예시

// 연관 타입을 사용하는 트레잇
trait AnotherTrait {
type Output;
fn bar(&self) -> Self::Output;
}

// 해당 트레잇을 구현하는 타입 예시
struct MyType;

impl AnotherTrait for MyType {
type Output = i32;
fn bar(&self) -> i32 {
42
}
}

fn main() {
let t = MyType;
let v: i32 = t.bar();
println!("AnotherTrait::bar returned {}", v);
}

실행 결과:

AnotherTrait::bar returned 42

7. attribute

  • 정의: 컴파일러에게 부가 정보를 주는 메타데이터. #[…] 또는 #![…] 형태.
  • 예시:
#[derive(Debug)]
struct MyStruct;

#[cfg(target_os = "linux")]
fn linux_only() {}

#[allow(dead_code)]
fn unused_function() {}

주로 코드 자동 생성(derive), 조건부 컴파일(cfg), 경고 제어 등에 사용된다.

attribute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