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hoo Finance에서 주식 정보 가져오기 (4)

https://overmt.com/yahoo-finance에서-주식-정보-가져오기-1/
의 코드 중 코드 2를 기준으로 chrono crate을 이용한 format_timestamp 함수와 tokio main 매크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format_timestamp 함수에 대해 알아보기

fn format_timestamp(timestamp: i64) -> String {
match Utc.timestamp_opt(timestamp, 0) {
chrono::LocalResult::Single(datetime) => datetime.format("%Y-%m-%d %H:%M:%S").to_string(),
_ => "Invalid timestamp".to_string(),
}
}

1. 입력값

timestamp: i64 : 이 값은 유닉스 타임스탬프(1970-01-01 00:00:00 UTC 기준의 초 단위 정수) 입니다.

2. Utc.timestamp_opt(timestamp, 0)

  • chrono::Utc는 UTC(협정 세계시) 타임존을 나타냅니다.
  • timestamp_opt(secs, nsecs)는 주어진 초(secs)와 나노초(nsecs)를 UTC 시각으로 변환하려고 시도합니다.
  • 반환값은 -chrono::LocalResult> enum인데, 이에는 세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 Single(datetime) → 정상적으로 변환됨
    – None → 변환 불가
    – Ambiguous(, ) → 모호한 시간 (주로 로컬 타임존에서 섬머타임 전환 시 발생, UTC에서는 거의 없음)

3. match 표현식

  • chrono::LocalResult::Single(datetime)일 경우에는 변환된 datetime을 format(“%Y-%m-%d %H:%M:%S”)로 지정한 문자열 포맷(연-월-일 시:분:초)으로 변환하고,
  • 그 밖의 경우(None, Ambiguous)는 “Invalid timestamp”라는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Ⅱ. tokio main 매크로에 대해 알아보기

#[tokio::main]
async fn main() -> Result<(),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symbols = [
"005930.KS", // 삼성전자
"AAPL", // Apple
"TSLA", // Tesla
"LIT",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BRK-B", // Berkshire Hathaway Class B
"AMZN", // Amazon
"O", // Realty Income Corporation
"TQQQ", // ProShares UltraPro QQQ
"XOM", // Exxon Mobil
"WMT", // Walmart
];

println!("Fetching stock data...\n");

let results = fetch_multiple_stocks(&symbols).await;

// 테이블 헤더 출력
println!("{:<3} {:<10} {:<35} {:<15} {:<8} {:<20}",
"No.", "Symbol", "Long Name", "Regular Price", "Currency", "Regular Market Time");
println!("{}", "-".repeat(95));

for (i, result) in results.iter().enumerate() {
let row_number = i + 1;
match result {
Ok(stock) => {
println!("{:<3} {:<10} {:<35} {:<15.2} {:<8} {:<20}",
row_number,
stock.symbol,
if stock.long_name.len() > 35 {
format!("{}...", &stock.long_name[..32])
} else {
stock.long_name.clone()
},
stock.regular_market_price,
stock.currency,
format_timestamp(stock.regular_market_time)
);
}
Err(e) => {
println!("{:<3} {:<10} {:<35} {:<15} {:<8} {:<20}",
row_number,
symbols[i],
"Error fetching data",
"N/A",
"N/A",
"N/A"
);
}
}
}

Ok(())
}

1. Tokio 런타임

#[tokio::main]
async fn main() -> Result<(),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 #[tokio::main]은 Tokio 비동기 런타임을 사용하는 매크로.
  • async fn main() → 메인 함수 자체가 비동기 함수로 실행됨.
  • 반환 타입이 Result<(),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으로서 성공했을 때는 (), 다시 말해 빈 튜플을 반환하므로 아무 값도 안돌려주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 다양한 에러 타입을 동적으로 담아 반환합니다.

2. 주식 심볼 배열

let symbols = [
"005930.KS", // 삼성전자
"AAPL", // Apple
"TSLA", // Tesla
"LIT", // Global X Lithium & Battery Tech ETF
"BRK-B", // Berkshire Hathaway Class B
"AMZN", // Amazon
"O", // Realty Income Corporation
"TQQQ", // ProShares UltraPro QQQ
"XOM", // Exxon Mobil
"WMT", // Walmart
];
  • fetch_multiple_stocks함수의 인수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주식의 티커(symbol)를 배열로 정의합니다.

3. 주식 데이터 가져오기

println!("Fetching stock data...\n");

let results = fetch_multiple_stocks(&symbols).await;
  • “Fetching stock data…” → 데이터 가져오기 시작 알림 출력.
  • fetch_multiple_stocks 함수는 비동기 함수로, 각 심볼에 대해 API 호출을 시도하여 Vec<Result<StockData, Error>> 를 반환함

4. 표 헤더 출력

println!("{:<3} {:<10} {:<35} {:<15} {:<8} {:<20}",
"No.", "Symbol", "Long Name", "Regular Price", "Currency", "Regular Market Time");
println!("{}", "-".repeat(95));
  • {:<n} 포맷은 왼쪽 정렬(Left Align) 하여 n 자리 확보.
  • 따라서 표 형태로 깔끔하게 정렬됨.
  • 이어서 “-“.repeat(95)로 구분선 출력.

5. 각 결과 출력

for (i, result) in results.iter().enumerate() {
let row_number = i + 1;
match result {
Ok(stock) => {
println!("{:<3} {:<10} {:<35} {:<15.2} {:<8} {:<20}",
row_number,
stock.symbol,
if stock.long_name.len() > 35 {
format!("{}...", &stock.long_name[..32])
} else {
stock.long_name.clone()
},
stock.regular_market_price,
stock.currency,
format_timestamp(stock.regular_market_time)
);
}
Err(e) => {
println!("{:<3} {:<10} {:<35} {:<15} {:<8} {:<20}",
row_number,
symbols[i],
"Error fetching data",
"N/A",
"N/A",
"N/A"
);
}
}
}
  • enumerate()를 쓰면 (index, result) 튜플이 넘어옴. row_number = i + 1로 1씩 증가하는 번호를 출력.
    • match result:
      ① 성공(Ok(stock))하면
      – stock(StockData 구조체)를 이용해 주식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stock은 result가 성공했을 때 값입니다.
      – stock.symbol 값을 symbol로 출력하고,
      – stock.long_name은 너무 길면 앞의 32자만 출력하고, + “…” 붙여서 가독성을 유지하고,
      – stock.regular_market_price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시하고,({:.2}),
      – 화폐 단위(currency)를 출력하고,
      – stock.regular_market_time은 format_timestamp 함수로 변환하여 표시함

      ② 실패(Err)하면
      – 주어진 symbols[i] 심볼과 함께 “Error fetching data”, “N/A” 값들을 표시.

6. 종료

Ok(())
  • main 함수가 정상 종료됨을 의미.

Yahoo Finance에서 주식 정보 가져오기 (3)

https://overmt.com/yahoo-finance에서-주식-정보-가져오기-1/
의 코드 중 코드 2를 기준으로 fetch_stock_data과 fetch_multiple_stocks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Ⅰ. fetch_stock_data 함수에 대해 알아보기

async fn fetch_stock_data(symbol: &str) -> 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url = format!("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 symbol);

let client = reqwest::Client::new();
let response = client
.get(&url)
.header("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send()
.await?;
let text = response.text().await?;
let yahoo_response: YahooResponse = serde_json::from_str(&text)?;
if let Some(result) = yahoo_response.chart.result.first() {
let meta = &result.meta;

Ok(StockData {
symbol: symbol.to_string(),
long_name: meta.long_name.clone().unwrap_or_else(|| "N/A".to_string()),
regular_market_price: meta.regular_market_price.unwrap_or(0.0),
currency: meta.currency.clone(),
regular_market_time: meta.regular_market_time.unwrap_or(0),
})
} else {
Err(format!("No data found for symbol: {}", symbol).into())
}
}

1. 함수 시그니처

async fn fetch_stock_data(symbol: &str) 
-> 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async fn → 비동기 함수, await를 사용할 수 있음
  • 입력값: symbol → “AAPL”, “TSLA” 같은 종목 코드
  • 반환값은 성공 시는 StockData 구조체, 실패 시는 에러(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를 반환하는데, 멀티스레드 환경이라 Box<dyn std::error::Error >에 Send(스레드간 이동)와 Sync(동시 접근) trait를 추가한 것임

2. 함수 동작 흐름

가. API URL 만들기

let url = format!(
"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
symbol
);
  • symbol을 이용해 Yahoo Finance의 차트 데이터 API 주소 구성
    예) 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AAPL

나. HTTP 클라이언트 준비

let client = reqwest::Client::new();
  • reqwest 라이브러리의 비동기 HTTP 클라이언트를 생성

다. GET 요청 보내기

let response = client
.get(&url)
.header(
"User-Agent",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 AppleWebKit/537.36"
)
.send()
.await?;
  • Yahoo Finance API 서버에 GET 요청
  • 브라우저처럼보이게 하려고 User-Agent 헤더를 추가 (봇 차단 방지 목적)
  • .await? → 요청 완료를 기다리고, 실패 시 에러 전파

라. 응답 본문(JSON) 텍스트 추출

let text = response.text().await?;
  • HTTP 응답을 문자열 형태로 읽어옴

마. JSON 파싱

let yahoo_response: YahooResponse = serde_json::from_str(&text)?;
  • serde_json을 사용해 JSON 문자열을 YahooResponse구조체로 변환
  • 여기서 YahooResponse와 내부 구조(chart.result, meta 등)는 미리 serde를 이용해 파싱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어야 함

바. 데이터 꺼내서 StockData 만들기

if let Some(result) = yahoo_response.chart.result.first() {
let meta = &result.meta;

Ok(StockData {
symbol: symbol.to_string(),
long_name: meta.long_name.clone().unwrap_or_else(|| "N/A".to_string()),
regular_market_price: meta.regular_market_price.unwrap_or(0.0),
currency: meta.currency.clone(),
regular_market_time: meta.regular_market_time.unwrap_or(0),
})
} else {
Err(format!("No data found for symbol: {}", symbol).into())
}
  • chart.result의 첫 번째 요소를 가져옴
  • 거기서 meta 정보를 추출
  • 회사명, 현재 시장 가격, 통화 단위, 마지막 거래 시간 등을 꺼내 StockData에 담음
  • 데이터가 없으면 Err로 반환
위 예에서, unwrap_or는 Option이 None일 때 값을 0.0 또는 0으로 지정하는데,
unwrap_or_else는 Option이 None일 때 클로저가 실행되고, clone()이 추가된 차이점이 있음

Ⅱ. fetch_multiple_stocks 함수에 대해 알아보기

async fn fetch_multiple_stocks(symbols: &[&str]) -> Vec<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let mut handles = Vec::new();

for &symbol in symbols {
let symbol_owned = symbol.to_string();
let handle = tokio::spawn(async move {
fetch_stock_data(&symbol_owned).await
});
handles.push(handle);
}

let mut results = Vec::new();
for handle in handles {
match handle.await {
Ok(result) => results.push(result),
Err(e) => results.push(Err(e.into())),
}
}

results
}

이 함수는 여러 주식 종목(symbol)을 동시에 비동기로 조회(fetch) 하기 위해 tokio::spawn을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1. 함수 시그니처

async fn fetch_multiple_stocks(
symbols: &[&str]
) -> Vec<Result<StockData, Box<dyn std::error::Error + Send + Sync>>>
  • async fn → 비동기 함수이므로 호출 시 .await 필요.
  • 입력값은 &[&str]로 &str 슬라이스 (예: &[“AAPL”, “GOOG”, “TSLA”])
  • 반환값: Result의 벡터
    – 각 종목(symbol)에 대해 Ok(StockData) 또는 Err(에러)가 담긴 리스트.
    – 즉, 한 종목 실패해도 다른 종목은 결과를 받을 수 있음.

2. 주요 동작 흐름

가. handles 벡터 생성

let mut handles = Vec::new();
  • 비동기 작업(태스크) 핸들을 저장해 둘 벡터.

나. 종목별 비동기 작업 생성

for &symbol in symbols {
let symbol_owned = symbol.to_string(); // 소유권 있는 String으로 변환
let handle = tokio::spawn(async move {
fetch_stock_data(&symbol_owned).await
});
handles.push(handle);
}
  • for 루프를 돌면서 각 종목 기호(&str)를 String으로 복사(to_string)
    → 이유: tokio::spawn의 async move 블록은 ‘static 라이프타임을 요구하기 때문.
    원본 &str는 반복문이 끝나면 사라질 수 있으니, 안전하게 소유권 있는 String 사용.
  • tokio::spawn(…) → 배경(백그라운드)에서 새로운 비동기 태스크 생성
  • async move → 클로저에 캡처되는 값(symbol_owned)을 이동(move)시켜 사용.
  • 결과: 각 종목을 조회하는 여러 비동기 태스크가 동시에 실행됨.

다. 모든 태스크 완료 대기

let mut results = Vec::new();
for handle in handles {
match handle.await {
Ok(result) => results.push(result),
Err(e) => results.push(Err(e.into())),
}
}
  • handle.await → 해당 비동기 태스크가 끝날 때까지 대기.
  • handle.await의 반환값:
    – Ok(result) → 작업이 정상 종료 → result(= Result)를 results에 저장.
    – Err(e) → 태스크 자체가 패닉 또는 취소 → 에러를 Box로 변환해 저장.

라. 결과 반환

results
  • 벡터에는 각 종목별 Result<StockData, Error>가 순서대로 저장됨.

마. 주의점

종목 수가 매우 많으면 동시에 많은 태스크가 실행되어 서버나 네트워크에 부하 발생 가능 → tokio::task::JoinSet이나 futures::stream::FuturesUnordered로 동시 실행 수를 제한하는 방법 고려 가능.

스마트 포인터(Smart Pointer)

Rust는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소유권 시스템을 사용하며, 여기에 스마트 포인터라이프타임이 핵심 역할을 합니다. 스마트 포인터는 데이터를 가리키는 기능이외에 소유권, 참조 카운팅 등 추가 기능을 포함하며, Box<T>, Rc<T>, RefCell<T>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스마트 포인터(Smart Pointer)란?

  • 일반 포인터처럼 데이터를 가리키지만, 추가적인 기능(소유권, 참조 카운팅 등)을 포함합니다.
  • 표준 스마트 포인터의 종류에는 아래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Box<T>: 일반 포인터는 스택에 저장되는데, Box는 힙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2. Rc<T>: 참조 카운팅(reference counting)을 통한 공유
    3. RefCell<T>: 런타임 시점 가변성 검사

2. 스마트 포인터의 종류

가. Box<T> – 힙에 저장

fn main() {
    let b = Box::new(5);
    println!("b = {}", b);
}
  • let b = Box::new(5);
    5는 i32 타입이므로 스택에 저장되는 것인데,
    Box::new를 통해 힙에 저장하고, 변수 b에 할당하므로
    변수 b는 Box<i32> 타입이 되며, 힙에 있는 5를 가리킵니다.
  • println!(“b = {}”, b);
    Box는 Deref(역참조) trait을 구현하고 있어서,
    자동으로 Box 안의 값을 꺼내서 5를 출력해 줍니다.

변수 b는 Box 타입이 되며, 힙에 있는 5를 가리킵니다.

  • 박스는 여러분이 데이터를 스택이 아니라 힙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구조체 간 재귀 타입 정의 시 유용합니다.
  • 아래와 같이 재귀 타입의 enum 정의시, 다시 말해 List가 List를 포함하고 잇으므로, 컴파일 타임에서는 List 타입의 크기를 알 수 없으므로 아래를 실행하면
enum List {
    Cons(i32, List),
    Nil,
}

use List::{Cons, Nil};

fn main() {
    let list = Cons(1, Cons(2, Cons(3, Nil)));
}

error[E0072]: recursive type ‘List’ has infinite size
(에러[E0072]: 재귀 타입 List가 무한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란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재귀 타입 열거형 라이프타임 오류

따라서, 아래와 같이 List를 Box로 감싸야 합니다.

enum List {
    Cons(i32, Box<List>),
    Nil,
}

Box를 사용해서 완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derive(Debug)]
enum List {
    Cons(i32, Box<List>),
    Nil,
}

use List::{Cons, Nil};

fn main() {
    let list = Cons(1,
        Box::new(Cons(2,
            Box::new(Cons(3,
                Box::new(Nil))))));
    println!("list = {:?}", list);
}
  • List 열거형을 출력하기 위해서 #[derive(Debug)]를 추가해야 하며, println!에서는 {:?}로 출력 포맷을 지정해야 합니다.
  • Box::new로 List를 구현합니다.

나. Rc<T> – 여러 소유자 공유

어떤 값이 계속 사용되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지를 알기 위해 해당 값에 대한 참조자의 갯수를 계속 추적하는 것입니다. 만일 값에 대한 참조자가 0개라면, 그 값은 어떠한 참조자도 무효화하지 않고 메모리에서 정리될 수 있습니다.

우리 프로그램의 여러 부분에서 읽을 데이터를 힙에 할당하고, 어떤 부분이 그 데이터를 마지막에 이용하게 될지 컴파일 타임에는 알 수 없는 경우 Rc 타입을 사용합니다. 만일 어떤 부분이 마지막으로 사용할지 컴파일 타임에 알 수 있다면 보통의 소유권 규칙이 적용됩니다.

use std::rc::Rc;

fn main() {
    let a = Rc::new(10);
    let b = Rc::clone(&a);
    println!("a = {}, b = {}", a, b);
}
  • use std::rc::Rc;
    Rc는 프렐루드(prelude, 프렐루드는 Rust가 모든 Rust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가져오는 항목들의 목록입니다. )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use 구문을 추가했습니다. Box는 use를 사용하지 않는 것과 대비됩니다.
  • let a = Rc::new(10);
    10을 Rc에 저장한 후 a에 할당합니다.
    따라서, a는 Rc<i32> 타입이 되고, 다시 말하면 a는 10을 가리키는 참조 카운팅 스마트 포인터입니다.
    이 경우 참조 카운트는 1입니다.
  • let b = Rc::clone(&a);
    a.clone()을 호출할 수도 있지만, 러스트의 관례는 Rc::clone(&a)를 사용합니다. Rc::clone은 clone 이 하는 것처럼 깊은 복사 (deep copy) 를 만들지 않고, 오직 참조 카운트만 증가 시켜 큰 시간이 들지 않습니다.
    이제 참조 카운트는 2가 됩니다.
  • println!(“a = {}, b = {}”, a, b);
    Rc는 Deref(역참조) trait을 구현해서 자동으로 &T처럼 동작하므로 내부 값이 출력됩니다.
    출력 값은 a = 10, b = 10입니다.
스마트 포인터(Rc)
스마트 포인터(Rc)
  •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 참조수는 Rc::strong_count(&a)로 확인 가능합니다.

다. RefCell<T> – 런타임 내부 가변성

내부 가변성 (interior mutability) 은 어떤 데이터에 대한 불변 참조자가 있을 때라도 여러분이 데이터를 변형할 수 있게 해주는 러스트의 디자인 패턴입니다. 보통 이러한 동작은 빌림 규칙에 의해 허용되지 않습니다.

불변 및 가변 참조자를 만들때, 우리는 각각 & 및 &mut 문법을 사용합니다. RefCell을 이용할때는 borrow와 borrow_mut 메소드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RefCell이 소유한 안전한 API 중 일부입니다. borrow 메소드는 스마트 포인터 타입인 Ref<T>를 반환하고, borrow_mut는 스마트 포인터 타입 RefMut<T>를 반환합니다. 두 타입 모두 Deref를 구현하였으므로 우리는 이들을 보통의 참조자처럼 다룰 수 있습니다.

만일 런타임 시 빌림 규칙을 위반한다면, RefCell의 구현체는 panic!을 일으킵니다.

use std::cell::RefCell;

fn main() {
    let data = RefCell::new(1);
    *data.borrow_mut() += 1;
    println!("data = {:?}", data.borrow());
}
  • let data = RefCell::new(1);
    1이라는 값을 감싼 RefCell<i32>를 생성한 후 data에 할당하므로, data는 RefCell<i32> 타입이며, 내부에 1을 가지고 있습니다.
    data는 mut가 없으므로 불변 참조입니다.
  • *data.borrow_mut() += 1;
    .borrow_mut()은 RefCell<i32>인 data의 내부 값을 가변 참조(mutably borrow) 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연산자는 실제 값을 꺼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코드는 data의 내부값을 꺼내서 1을 더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함수는 런타임에 현재 가변 참조가 가능한지 검사해서
    이미 다른 가변/불변 참조가 있으면 panic!이 발생합니다.
  • println!(“data = {:?}”, data.borrow());
    .borrow()는 내부 값을 불변 참조(immutably borrow)하겠다는 뜻입니다.
    {:?}는 Debug 포맷 출력입니다.
    이 시점에서 내부 값은 2입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data = 2 입니다.

Box와 Rc는 컴파일 타임 불변성, RefCell은 런타임 가변성


3. Box<T>, Rc<T>, RefCell<T> 비교

  • Rc<T>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 복수개의 소유자를 가능하게 하지만, Box<T>와 RefCell<T>는 단일 소유자만 갖습니다.
  • Box<T>는 컴파일 타임에 검사된 불변 혹은 가변 빌림을 허용하고, Rc<T>는 오직 컴파일 타임에 검사된 불변 빌림만 허용하지만, RefCell<T>는 런타임에 검사된 불변 혹은 가변 빌림을 허용합니다.
  • RefCell<T>가 런타임에 검사된 가변 빌림을 허용하기 때문에, RefCell<T>가 불변일 때라도 RefCell<T> 내부의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요약 정리

항목설명
Box<T>힙에 값 저장, 단일 소유자
Rc<T>다중 소유자 참조 카운팅, 단일 스레드만 지원
RefCell<T>내부 가변성 제공, 런타임시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