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hoo Finance에서 주식 정보 가져오기 (2)

https://overmt.com/yahoo-finance에서-주식-정보-가져오기-1/
의 코드 중 코드 2를 기준으로 use(임포트)와 struct(구조체) 부분의 코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use

use reqwest;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use std::collections::HashMap;
use tokio;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

가. use reqwest;

HTTP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import) 기능으로, Yahoo Finance API에서 주식 데이터를 가져오는 HTTP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시: reqwest::get(“https://api.example.com”)

Cargo.toml에서는 dependency를 선언한 것이고, 사용하려면 다시 use를 해야 합니다.

나.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

직렬화/역직렬화 라이브러리인 serde를 import 하는 구문으로, ::{Deserialize, Serialize}는 라이브러리의 전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Deserialize와 Serialize 트레이트(trait)만 가져오는 것입니다.

JSON 데이터를 Rust 구조체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 역확을 하며, 본 코드에서는 Yahoo API의 JSON 응답을 StockData 구조체로 변환하는데 사용합니다.

dependencies의 serde와 main.rs의 serde의 차이점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Cargo.toml의 dependencies]
serde = { version = "1.0", features = ["derive"] }는 serde 크레이트의 추가 기능인 derive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derive(Serialize, Deserialize)] 매크로를 사용 가능하게 합니다.

[main.rs의 use]
use serde::{Deserialize, Serialize};는 실제로 구조체에 적용할 트레이트인 Deserialize, Serialize 트레이트를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main.rs의 struct 구문]
// derive 기능이 활성화되어서 이 매크로 사용 가능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StockData {
symbol: String,
price: f64,
}

[3단계 구조]
features = ["derive"]로 derive 기능을 활성화하고,
use serde::{...}로 Deserialize, Serialize 트레이트를 가져오고,
#[derive(...)]로 구조체에 실제 매크로를 적용하는 3단계 구조입니다.

다. use std::collections::HashMap;

키-값 쌍을 저장하는 해시맵을 import 하는 것인데, 현재 코드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지우고 실행해보니 문제없습니다.

claude.ai가 필요없으니 삭제를 해야 하는데, 삭제를 하지 않았네요.

cargo run을 하니 unused가 HashMap뿐만 아니라 DateTime, e도 있습니다.

use std::collections::HashMap;은 한 줄을 지우고,

use chrono::{DateTime, Utc, TimeZone};에서는 DateTime만 지우고,

error를 의미하는 e는 위 화면의 제안에 따라 _e로 바꾸고 실행하니 문제없이 깔끔하게 실행됩니다.

라. use tokio;

tokio라는 비동기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임포트하는 구문으로 async/await를 이용해 여러 주식의 정보를 동시에 병렬로 가져오기가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10개 주식을 순차적으로 가져오면 10초가 걸리는데, 병렬로 가져오면 1초뿐이 안걸립니다.

마. use chrono::{Utc, TimeZone};

chrono는 날짜/시간 처리 라이브러리로서 Unix 타임스탬프를 사람이 읽기 쉬운 날짜로 변환해줍니다. 예를 들어 1692345600를 “2023-08-18 12:00:00″로 바꿔줍니다.

Unix 타임 스탬프는 UTC 기준으로 1970.1.1부터의 누적된 초이며, UTC는 협정 세계시(Coordinated Universal Time의 약어)로서 그리니치 표준시 (GMT)의 후속 표준이라고 합니다.

2. struct

이 코드는 Yahoo Finance API에서 주식 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데이터 구조(Struct)**를 정의한 것입니다.

serd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JSON 데이터 → Rust 구조체 변환(Deserialize)과 반대로 변환(Serialize)을 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postman 사이트에서 https://query1.finance.yahoo.com/v8/finance/chart/AAPL를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깔끔한 JSON 포맷의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중괄호 안에 chart(key)가 있고, 그 안에 result와 대괄호(배열)가 있고, 다시 중괄호 다음에 meta가 있으며, 그 안에 우리가 얻고자 하는 currency, symbol, regularMarketPrice 등이 key: Value 쌍으로 담겨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계별로 struct를 만듭니다.

가. YahooResponse

#[derive(Debug, Deserialize, Serialize)]
struct YahooResponse {
chart: Chart,
}
  • API 응답 전체를 감싸는 최상위 구조체로서,
  • Yahoo API가 반환하는JSON 최상단에 있는 “chart” 필드를 받기 위해 사용하는데, 데이터형식은 아래 ‘나. Chart’입니다.

나. Chart

struct Chart {
result: Vec<ChartResult>,
error: Option<serde_json::Value>,
}
  • result: 실제 주식 데이터가 담긴 배열이므로 Vec 타입이고, ChartResult 형식의 데이터를 담습니다.
  • error: 에러가 있을 경우 그 내용을 담는 필드로서, 값이 없을 수도 있으니 Option 열거형이며, T값은 serde_json::Value입니다.

다. ChartResult

struct ChartResult {
meta: Meta,
}
  • meta에는 해당 종목의 기본 정보(symbol, regularMartketPrice, currency 등)가 들어 있으며, 데이터 타입은 ‘라. Meta’입니다.

라. Meta

struct Meta {
currency: String,
symbol: String,
#[serde(rename = "longName")]
long_name: Option<String>,
#[serde(rename = "regularMarketPrice")]
regular_market_price: Option<f64>,
#[serde(rename = "regularMarketTime")]
regular_market_time: Option<i64>,
}
  • 개별 종목의 메타데이터입니다.
  • #[serde(rename = “longName”)]  속성(Attribute)은 JSON의 필드 이름인 long_name을 Rust 필드 이름인 longName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 Option을 쓰는 이유는 해당 값이 API 응답에서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 StockData

#[derive(Debug, Clone)]
struct StockData {
symbol: String,
long_name: String,
regular_market_price: f64,
currency: String,
regular_market_time: i64,
}
  • 실제 사용할 가공된 데이터 구조체로서, Debug와 Clone trait을 자동 구현하며,
  • 위의 Meta에서 필요한 값만 골라와서, 모두 Option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것이며,
  • 프로그램 내부 로직(예: UI 표시, 계산)에서 바로 쓰기 편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Rust의 상수와 복합 타입 (Compound Types)

Scalar Types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살펴봤는데, 이번에는 상수와 복합 타입(Compound Types) 튜플과 배열을 살펴보겠습니다.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며, 튜플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것이고, 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값을 고정된 크기로 저장합니다.


🔷 상수 (Constants)

상수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변하지 않는 값을 나타냅니다.

const MAX_POINTS: u32 = 100_000;

fn main() {
    println!("최대 점수: {}", MAX_POINTS);
}
  • 변수는 let 키워드를 사용하는데, 상수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며 함수 외부/내부 모두 선언 가능
  • 타입을 반드시 명시해야 하며(추론 적용되지 않음), 대문자+언더스코어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 위 코드 중 100_000에서 _는 천 단위 구분 기호인 ,를 대체하는 기호입니다.
  • const는 컴파일 타임에 값이 결정됨

참고: let로 선언한 변수는 mut로 변경 가능하지만, const는 절대 변경되지 않습니다.

fn main() {
    const MAX_POINTS: u32 = 100_000;
    MAX_POINTS += 10; // 상수는 변경할 수 없음, 이 줄은 오류를 발생시킴
    println!("최대 점수: {}", MAX_POINTS);
}

MAX_POINTS를 변경하려고 하면 값을 할당할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 튜플 (Tuples)

튜플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습니다.

fn main() {
    let person: (&str, u32) = ("Alice", 30);
    let (name, age) = person;

    println!("이름: {}, 나이: {}", name, age);
    println!("튜플 직접 접근: {}", person.0);
}
  • 괄호 안에 콤마로 구분되는 값들의 목록을 작성하여 튜플을 만듭니다.
  • 고정된 길이와 순서를 가지며, 서로 다른 타입 허용
    위 예에서는 &str, 다시 말해 스트링 슬라이스와 u32 정수 타입이 섞여 있습니다.
    타입을 입력하지 않으면 추론되는데, 정수는 i32가 기본 타입이므로 i32로 추론됩니다.
  • . 문법으로 인덱스로 튜플의 요소에 접근 가능
    위 예에서 person.0은 첫번째 값인 이름을 가리키고, .1을 하면 나이를 가리키게 됩니다.

튜플의 구조해체(destructuring)

튜플의 속성인 그룹을 해체하여 각각의 값을 개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 예에서 let (name, age) = person; 란 구문을 사용했는데,
person이란 튜플의 첫번째 요소는 name에, 두번째 요소는 age 변수에 할당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튜플은 구조해체 또는 .인덱스를 이용해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배열 (Arrays)

배열은 동일한 타입의 값고정된 크기로 저장합니다.

fn main() {
    let scores: [i32; 3] = [90, 85, 78];

    println!("첫 번째 점수: {}", scores[0]);

    for score in scores.iter() {
        println!("점수: {}", score);
    }
}
  • 대괄호 안에 값들을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해서 배열을 만듭니다.
  • [i32; 3]와 같이 타입 뒤에 ;(:이 아님)을 붙이고 숫자를 쓰면, i32 타입 3개의 배열 의미
  • let scores = [30; 10]; 이라고 입력하면 scores 배열에 정수 30을 10개 입력한 것이 됩니다.
  • scores[0]처럼 대괄호안에 인덱스를 입력하여 배열의 요소에 접근 가능
  • for와 .iter()를 이용해서 반복 가능

배열(Array)과 벡터(vector)

배열이 유용할 때는 항상 고정된 크기의 요소를 갖는데 비해서 벡터 타입은 유사 집합체로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며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합니다. 배열이나 벡터 중에 뭘 선택해야 할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벡터를 사용하라고 합니다.

유효하지 않은 배열 요소에 대한 접근

아래에서 a배열의 가장 큰 인덱스가 4인데, 10으로 지정하고 cargo run을 하면

fn main() {
    let a = [1, 2, 3, 4, 5];

    let element = a[10];

    println!("The value of element is: {}", element);
}

아래와 같이 길이가 5인데, 인덱스가 10이라는 경계를 벗어난 인덱스 에러가 발행합니다.


🧠 요약

항목설명
const변경 불가능한 상수, 타입 명시 필수
튜플다양한 타입을 그룹화, 순서 중요
배열동일한 타입, 고정된 크기, 인덱스로 접근